지구과학교육과 학부생,
이수현(22학번)·전호석(19학번)학생이
『지구과학회지』 공동 제1저자 논문을 게재하였습니다!
2024년 부산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천문대 개소와 함께 0.5m 주망원경이 설치되었습니다
현재, 이 망원경을 활용해 초신성이나 중력파 천체 등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번 논문은 부산대 천문대 0.5m 주망원경을 이용해 얻은 첫 연구 성과로 의미가 깊습니다!
논문제목: "부산대학교 천문대 0.5 m 망원경을 활용한 외계행성 보유 후보 천체 TOI-3653의 광도곡선 분석"
요 약: 본 연구에서는 부산대학교 천문대 (Pusan National University Observatory; PNUO)의 0.5m 망원경을 이용해 외 계행성을 가진 것으로 알려진 항성 TOI-3653의 식현상을 관측한 결과를 제시한다 . 관측은 협정세계시 (UT) 기준 2024 년 8월 12일 15시 28분부터 2.2시간 동안 진행되었으며 , 수집한 관측 데이터를 전처리한 뒤 TOI-3653의 주변 비교성 을 사용하여 비교 측광함으로써 광도 곡선을 얻을 수 있었다 . 이렇게 얻은 광도 곡선을 EXOFAST 프로그램을 이용해 모형 맞추기한 결과 , 우리가 관측한 식현상에서 약 1.7%의 감광이 발생했으며 이를 통해 모형 의존성이 존재하나 TOI- 3653이 목성의 3.15배 크기의 외계행성인 TOI-3653 b을 지니고 있다고 통계적으로 유의미 (?2? = 1.08)하게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 본 결과는 PNUO 0.5 m 망원경이 외계행성 식현상에 따른 미세한 광도 변화를 감지할 수 있음을 보여주며 , 향후 외계행성 연구에 유용한 관측 장비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