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이진광 선생님의
<2019 2학기 국립대학 육성사업 정기강좌> 소식을
전해드립니다
2019년 11월 7일, 14일, 21일
총 3회에 걸쳐 진행된 이번 특강에서는
1학기에 이어 <동아시아 신화와 유럽신화>
라는 주제로 '모티브, 효용성, 상징, 의미해석'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동아시아와 유럽신화를
분석적 관점에서 이해해볼 수 있었던 시간이었습니다
첫 번째 시간에는
레비스트로, 브로크하우스, 위키피디아, 부르스 링컨 등
신화에 대한 다양한 사전적 정의를 시작으로
성선설, 역사설, 우화설, 물리설 등 신화의 기원과 관련된 이야기,
신화의 탄생조건과 사회발전 단계에 대한 이야기 그리고
상품명이나 명화 등에서 모티브로 삼는
신화 속 이야기의 예시와 의미에 대해
설명 해주셨습니다
두 번째 시간에는 신화의 구성요소 중 행동과 인물을
중심으로 형성된 터부 (금기)와
아프리카 부족 사이에 전해지는
여러 신화들을 예시로
신화의 탄생 배경과 생성조건을 비교 분석하고
동아시아의 건국신화와 북유럽 신화의 소재, 모티브
그리고 상징을 신화 속 주요인물 및
배경을 중심으로 이야기해주셨습니다
마지막 세 번째 시간에는
시와 동화, 신문의 사설, 그림 등
‘프로메테우스’를 소재로 한 창작물을 한데 모아
비교해봄으로써 문화코드의 전달로써
신화 소재의 활용과 상징이 주는 의미를 고찰하고
가족과 국가의 갈등과 관련된 ‘오이디푸스’와
신화에서 비롯된 다양한 변형형태인 ‘신데렐라’ 모티브를 통해
신화에 투영된 사회적 기능과 윤리적 기능에 대한
이야기를 전해주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