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ctId=bbs,fnctNo=2640 RSS 2.0 150 건 게시물 검색 제목 작성자 공통(상단고정) 공지 게시글 게시글 리스트 장지향 박사졸업생(지도교수: 오민철) 세계 최대 디스플레이 행사인 ‘SID 2025’에서 ‘올해의 우수 논문’으로 선정 작성자 정해진 조회수 145 첨부파일 0 게시일 2025.06.27 부산대 전자공학과 01학번, 전기전자공학부 석박통합 06학번 장지향(지도교수: 오민철) 박사가OLED분야의 역사상 아주 획기적인 개발에 성공하여 SID2025에서 올해의 우수 논문으로 선정되었습니다. SID는 매년 글로벌 연구진이 제출하는 500편 이상 논문 중 상위 5%만 우수 논문으로 지정한다. 장지향 박사는 2013년 박사졸업 후 LG디스플레이에 입사하여 OLED 개발하는 연구를 이어오고 있다. 이번연구를 통해 'TV분야의 가장 큰 발전',;역대 최고의 OLED 경험선사'등의 평가를 받았다.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뉴스기사에서 확인해볼수 있습니다‘가장 큰 발전’ ‘역대 최고 경험 선사’ 외신들 극찬…촛불 4천개 밝기 TV 개발 비결은 - 매일경제 [전기전자공학과] 김민주 학생 대학원 대통령과학장학금 장학생 선정 작성자 정해진 조회수 437 첨부파일 0 게시일 2025.06.16 전기전자공학과 김민주(사진) 석사과정생이 6월 5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원하는 ‘대학원 대통령과학장학금’ 장학생으로 최종 선정됐다.(지도교수 이길주)김민주 학생은 ICT 융합연구 분야에서 차세대 이미징 시스템 및 인공지능 기반 광학 구조 설계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이번에 연구 주제의 독창성과 학문적 우수성을 높이 평가받아 장학생으로 선발되면서, 최대 4학기 동안 월 150만 원의 장학금을 받게 됐다.‘대학원 대통령과학장학금’은 이공계 대학원생을 위한 차별화된 정부 장학 지원사업으로, 우수한 인재를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인력으로 양성하고자 운영된다. [출처: PNU포커스] 세계 최고 반도체 3대 학회 VLSI symposium 부산대 최초 논문 채택!_전자공학전공 백지선 교수 작성자 정해진 조회수 915 첨부파일 0 게시일 2025.04.17 Symposium on VLSI Technology and Circuits 학회는 반도체 소자, 공정, 설계, 회로 및 시스템 분야에서 최고 권위의 국제 학술대회로써, MIT, KAIST, 스탠퍼드, 도쿄대와 같은 유수 대학뿐만 아니라, 삼성, TSMC, NVIDIA, 인텔, 퀄컴과 같은 세계 최고의 반도체 기업들과 기술 경쟁을 통해 가장 우수한 논문만이 최종 선정된다. 부산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 RF Power Management IC Design Lab.의 연구진(지도교수 백지선, 1저자 배재흥, 2저자 윤성준, 공저자 명주연, 김민주, 김정훈, 이제헌, 강동휘 석사과정)은 “6G 차세대 무선 이동통신을 위한 Digital Envelope Tracking RF 전력증폭기”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 함으로써, 부산대 최초로 VLSI symposium에 논문이 채택되는 쾌거를 이루었다. 본 논문은 RF circuit session에서 발표 될 예정이며, 25년 RF circuit session에서 한국 논문으로는 부산대 논문이 유일하게 발표될 예정이다. 이러한 성과는 부산대 반도체 칩 설계 연구의 위상을 한층 높이는 성과로 평가된다. 본 논문의 기술은 Zeratul6800 (Zeratul은 백지선 교수 연구실의 자체 IC 브랜드 명이다.)에 적용된 기술이며, 세계최초로 6G extreme MIMO용 digital envelope tracking 전력증폭기 기술을 자체적으로 개발하였다. Zeratul6800은 VLSI symposium에 기술의 혁신성을 인정 받음과 동시에 상용화 수준의 완성도를 자랑한다. Symposium on VLSI Technology Circuits는 반도체 소자 및 회로 설계 분야에서 최고 권위를 자랑하는 학술대회로, 매년 글로벌 반도체 기업과 연구기관이 참가하여 최신 연구 동향을 공유하고, 엄격한 심사를 거쳐 혁신적인 연구 성과를 발표한다. 2025년 VLSI 학회는 6월 8일부터 6월 12일까지 일본 교토에서 개최될 예정이며, 올해 SK hynix의 Seon-Yong Cha CTO, NVIDIA의 John Chen Vice President, MediaTek의 Lawrence Loh Senior Vice President, STMicroelectronics의 Alessandro Cremonesi Executive Vice President 4분의 기조 연설에서 차세대 반도체 기술의 방향에 대해 들을 예정이다. 엄경식 교수 연구팀 - 전기 & 광학 인공시각장치 개발 작성자 정해진 조회수 692 첨부파일 0 게시일 2025.03.26 부산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 엄경식 교수팀과 의생명융합공학부 정준수 교수 연구팀이 공동으로 마이크로 성형 기반 시신경 전기자극 장치를 개발하여 ‘npj Flexible Electronics’ (Impact factor: 12.4, JCR 상위 1.8 %)에 2025년 소개됐다.논문 링크: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28-024-00378-0 이번 연구에서는 마이크로 열성형 기반 유연전극을 활용하여 망막색소변성증 (Retinitis Pigmentosa), 나이관련황반변성(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질환으로 실명한 환자들을 위한 안전하고 효율적인 시신경 자극을 통한 시력 회복 가능성을 보였다. 또한, 부산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 엄경식 교수팀과 미국 Brown 대학교 연구팀이 공동으로 금나노입자의 광열효과를 활용하여 시신경을 제어하고 이를 활용하여 시력 손상 쥐의 시력을 복원시키는 연구를 보여 ‘ACS Nano’ (Impact factor: 15.8, JCR 상위 6.3%)에 2025년 소개됐다.논문 링크: https://pubs.acs.org/doi/10.1021/acsnano.4c14061 이번 연구를 통해 광수용체 손상으로 인해 시력을 손실한 환자의 시력을 비침습적으로 회복시킬 가능성을 보였다. 연구팀은 금나노입자가 주입된 쥐 안구에 비침습적으로 근적외선 레이저를 인가하여 시신경의 활성을 유도하였으며 정상/망막변성 쥐의 시력을 복원/회복시킬 수 있음을 보여 기존 전기적 인공시각장치를 대체할 수 있는 가능성을 선보였다. 김태헌 석사과정, 김희나 학부연구생 (지도교수: 심현석) 한국반도체학술대회 '우수 포스터 상' 수상 작성자 정성경 조회수 927 첨부파일 0 게시일 2025.03.25 전기전자공학과 김태헌 (24학번, 지도교수: 심현석) 석사과정 학생과 전자공학전공 김희나 (20학번, 지도교수: 심현석) 학부연구생이 정선에서 개최된 제33회 한국반도체학술대회 (KCS 2025) (25년 2월 12일 - 14일) 에서 '우수 포스터 상'을 수상하였다.김태헌 학생은 '메모리 기능이 탑재된 차세대 인공피부 개발', 김희나 학생은 '스트레스 수치 파악을 위한 전기화학 기반 트랜지스터 개발'에 대한 연구로 대학원생 포스터 세션 및 학부연구생 포스터 세션에서 우수한 성과를 인정받았다. 한국반도체학술대회(Korea Semiconductor Conference, KSC)는 '한국반도체학술대회'는 국내 최대 반도체 전문 학술대회로 반도체 분야의 연구자, 전문가, 학생들이 모여 최신 연구 결과와 기술 동향을 공유하고, 반도체 산업의 발전을 촉진하는 중요한 학술 행사이다. 진인환 석사과정 (지도교수: 공경보) 대학원생, 인공지능 분야 Top Conference인 ‘ICLR 2025’에 논문 발표 작성자 정해진 조회수 573 첨부파일 0 게시일 2025.03.11 부산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 공경보 교수 연구실의 진인환 석사과정생, 정성훈 박사과정생, 그리고 추해수(부경대학교) 학부생이 공동으로 진행한 연구가 기계 학습 및 인공지능 분야의 세계적인 학술 대회인 표현 학습 국제 학회(ICLR 2025)에서 최종 채택되었다.ICLR은 세계 AI 연구를 선도하는 학술대회로 뉴립스(NeurIPS), 국제머신러닝학회(ICML)와 함께 글로벌 3대 AI 학회로 꼽힌다. 매년 세계 유수의 연구기관·기업이 참여, 다양한 세션을 통해 최신 연구 동향을 공유하고 엄격한 심사를 거쳐 우수 논문을 선정한다. ICLR 2025는 오는 4월 24일부터 4월 28일까지 Singapore EXPO에서 열릴 예정이다.논문의 제목은 ‘Optimizing 4D Gaussians for Dynamic Scene Video from Single Landscape Images’이며, 이 연구는 단일 입력 이미지로부터 3차원 공간을 복원하고 일관된 3차원 모션을 생성하여 4차원 공간으로 확장하는 새로운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였다. 이 기술은 실제 환경을 가상으로 재현하는 AR/VR, 영상 합성, 자율주행 및 로봇 비전 기술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남희준 석사과정 (지도교수: 이길주) 대학원생, SPIE Photonic West ‘Best Student Paper Award’ 수상 작성자 정해진 조회수 430 첨부파일 0 게시일 2025.02.04 전기전자공학과 남희준 (23학번, 지도교수: 이길주) 석사과정생이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된 S SPIE Photonic West 2025 (25년 1월 25일 - 1월 30일) 학회에서 ‘Best Student Paper Award’를 수상하였다. 남희준 학생은 ‘High-Sensitivity colorimetric humidity sensor using nanostructured Fano resonator with ultra-wide color gamut’ 라는 연구로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해당 연구는 재구성 가능한 구조색을 통해 습도 값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비색 습도 센서에 관한 것으로, 파노 공진 (Fano resonance)과 나노 공진 구조를 결합해 색 순도를 높여 센서의 해상도와 반응성을 동시에 향상시킨 기술적 성과를 인정받았다. SPIE Photonic West는 광학 및 광전자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국제 학술대회이자 전시회로, 매년 초 미국 샌프란시스코 모스콘 센서에서 개최된다. 주요 트랙으로는 BiOS (Biomedical Optics), LASE (Lasers and Applications), OPTO (Optoelectric Materials and Devices) 이 있으며, 글로벌 연구자들의 최신 연구를 공유하고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자리이다. 남희준 석사과정 (지도교수: 이길주) 대학원생, 한국정보디스플레이 학술대회 (KMiD) ‘우수 포스터 상’ 수상 작성자 정해진 조회수 354 첨부파일 0 게시일 2025.02.04 전기전자공학과 남희준 (23학번, 지도교수: 이길주) 석사과정생이 강원도 강릉에서 개최된 제 1회 한국정보디스플레이 학술대회 (KMiD 2025) (25년 1월 20일 - 1월 22일) 에서 ‘우수 포스터상’ 을 수상하였다. 남희준 학생은 ‘구조색 기반 고색재현율 초반응성 디스플레이 일체형 습도 센서’ 에 대한 연구로 우수한 성과를 인정받아 수상하였다. 본 연구는 구조색 기반의 고색재현 기술을 활용하여, 습도 변화에 즉각적으로 반응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일체형 센서 개발에 중점을 두었다. 이 기술은 단순히 정보를 일방적으로 제공하는 기존 디스플레이의 한계를 넘어, 환경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사용자와 유기적인 상호작용할 수 있는 차세대 스마트 디스플레이 및 융합 센서로의 확장 가능성을 보여준다. KMiD는 국내 정보디스플레이 분야 전문가와 연구자들의 교류를 확대하고자 올해 처음 열린 학술대회로,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KIDS)와 미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SID)가 공동 주관한다. 백지선 교수 대한전자공학회 반도체소사이어티 최우수 논문상 수상 작성자 정해진 조회수 631 첨부파일 0 게시일 2024.12.20 전기전자공학부 전자공학전공 백지선(사진) 교수가 12월 4일 대한전자공학회 2024년 반도체소사이어티(SD) ‘최우수 논문상’을 수상했다.이 상은 대한전자공학회에서 우수한 논문으로 학술 발전에 현저한 공헌을 한 연구자에게 수여하는 전자공학 분야 국내 최고 권위의 학술상이다. 대한전자공학회 반도체소사이어티는 매년 가장 높은 수준의 반도체 분야 연구자 3명을 엄격한 심사를 통해 선정해 최우수 논문상(1명)과 우수 논문상(2명)을 수여한다.백지선 교수는 12년간 삼성전자 S.LSI 사업부에서 최신 스마트폰을 위한 상용 반도체 칩을 개발하는 등 풍부한 반도체 칩 설계 경험을 갖고 있다. 2022년 9월부터 부산대에 재직하며 차세대 RFIC 및 PMIC 설계를 연구 중이다. 또한, 2019년부터 2024년까지 반도체 회로 올림픽으로 불리는 IEEE ISSCC 학회의 TPC 멤버로서 세계 최고 반도체 집적회로 전문가로 활동했다. [출처: PNU 포커스] 대한전자공학회(IEIE) 주최 ‘2024년도 추계학술대회' 학부생 우수 논문 10편 선정 작성자 정성경 조회수 634 첨부파일 0 게시일 2024.12.20 전기전자공학부 최규진·최익준 학생과 물리학과 정종혁(전자공학전공 복수전공) 학생이 대한전자공학회(IEIE)에서 주최한 ‘2024년도 추계학술대회’에서 11월 22일 ‘학부생 우수 논문 10편’에 선정됐다.(지도교수 백지선)수상팀은 ‘ETRI 0.5um 공정을 이용한 Buck Converter (Voltage mode) 설계 및 분석’에 관한 논문으로 수상했다.이번 연구는 ETRI 0.5um CMOS 공정을 활용해 Voltage mode Buck Converter를 설계하고, 그 한계를 개선하기 위해 PWM Controller를 추가했다. 기존의 Buck Converter는 부하 변화나 기타 조건에서 비정상적인 스위칭을 일으킬 수 있는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들은 PWM Controller를 추가해 안정적인 스위칭을 유지하는 설계를 도입했다. 이 PWM Controller는 최소 on-time과 off-time을 유지함으로써 Buck Converter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도록 돕고, 불안정한 동작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사진: 왼쪽부터 최규진, 최익준, 정종혁 학생.[출처 : 부산대학교 홈페이지 PNU 포커스] 김상길 교수 소재 분야 발전 공로 과기정통부 장관 표창 수상 작성자 정해진 조회수 299 첨부파일 0 게시일 2024.12.19 전기전자공학부 전자공학전공 김상길(사진) 교수가 소재 분야 기술·산업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표창을 받았다.김상길 교수는 소재 분야 연구주제 발굴 및 지역 일자리 창출에 기여한 공로로 선정됐다.시상식은 12월 12일에 열린 ‘2024년 소재 연구단 성과공유회’에서 진행됐다. 이날 행사는 과기정통부 소재 연구개발의 우수성과를 공유하고 연구자 격려 및 산·학·연 연구자 간 소통과 협력 활성화 등을 위해 개최됐다. [출처: PNU 포커스] [전기전자공학부] 김장목·이성식 교수 부산 전력반도체 발전 기여 업적 '부산시장상' 수상 작성자 정해진 조회수 379 첨부파일 0 게시일 2024.12.12 * 사진: 왼쪽부터 김장목 교수, 이성식 교수. 전기전자공학부 김장목 교수와 이성식 교수가 부산시 전력반도체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부산광역시장상’을 수상했다. 시상식은 11월 29일 부산 아스티 호텔에서 개최된 한국전력소자산업협회 송년의 밤 행사에서 진행됐다.김장목 교수는 그동안 부산대 반도체 교육과 연구 혁신에 기여하고, 전력반도체 기업인 ㈜효원파워텍을 설립해 대표이사를 맡는 등 부산이 전력반도체 특화 도시로 발돋움하는 데 이바지했다. 효원파워텍은 기장 전력반도체 특화 산업단지에 위치하고 있으며, 전력반도체를 기반으로 전력전자 제어장치를 개발하는 지역 전력반도체 핵심 기업으로 자리매김했다.이성식 교수는 2022년부터 차세대 반도체 분야 부산대 자체 특성화 사업단장으로 활동하며 지역의 반도체 산업 특성을 파악해 대학 교육 및 연구에 반영하고 지산학협력에 힘써 왔다. 이를 발판으로 2023년 5월 교육부 권역별 반도체공동연구소 구축사업을 수주해 현재 연구소장을 맡아, 부산시의 공공 전력반도체 인프라 확보와 지산학협력의 토대를 마련한 업적을 높이 평가받았다.한편, 김장목 교수와 이성식 교수는 그동안 부산시와 부산테크노파크의 전력반도체 산업정책 수립과 과제기획을 위한 추진위원으로 활발히 활동해 오고 있다.부산시는 그동안 전력반도체 생태계 조성 및 전력반도체 허브 도시 실현을 추진해 왔으며, 이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 이번에 시장상을 수여했다. [ 출처: PNU 포커스] 처음 1 2 3 4 5 6 7 8 9 10 다음 페이지 다음 끝 처음 다음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