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ctId=bbs,fnctNo=2640 RSS 2.0 99 건 게시물 검색 제목 작성자 공통(상단고정) 공지 게시글 게시글 리스트 김민성 석사과정생(지도교수: 이길주) 관찰 불가능한 다공성 폴리머 활용 광 암호소자 개발…석사 1년차 SCI 저널 제1저자 논문 발표 작성자 정해진 조회수 506 첨부파일 0 전기전자공학과 김민성(22학번, 사진) 석사과정생이 관찰 불가능한 다공성 폴리머에 관한 제작 방법 개발 및 이를 활용한 광 다중산란 기반 암호 소자 구현에 성공해 이에 대한 동작 원리와 암호 소자로의 응용 가능성을 발표했다(지도교수: 이길주).이는 석사과정 1년차인 김민성 학생이 SCI 저널인 『ACS Applied Materials Interfaces』에 제1저자로 발표한 논문으로, 1월 12일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특히, 김민성 학생은 다른 공동 저자의 도움 없이 소재의 제조 방법부터 이론적 분석, 암호 소자로의 응용까지 모두 수행했다.이번 연구는 자가조립되는 다공성 폴리머 제작 방식과 이를 활용해 물리적으로 복제 불가능한 소재의 제작, 그리고 이를 활용한 복제 불가능한 암호 소자로의 응용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논문 제목: Visually-hidden, self-assembled porous polymers for optical physical unclonable functions(시각적으로 관찰 불가능한 광학 기반 복제 불가능한 하드웨어 기반 암호소자)- 논문 링크: https://pubs.acs.org/doi/10.1021/acsami.2c18737해당 소재는 내부의 100~200 나노미터 크기의 아주 작은 미세 공기 층이 들어오는 빛을 산란시킨다. 파장에 따라 산란되는 빛의 형태가 달라지기 때문에, 이를 이용해 파장에 따라 다른 암호 소자의 유일성을 구현했다. 또한, 제작된 물리적 복제 불가능한 소재의 표면은 아주 매끄러워 광학 현미경 또는 전자주사 현미경 등의 고해상도 분석 장비를 이용해도 내부의 미세 공기 층은 관찰이 불가능한 특징이 있기 때문에 보안성을 한층 더 끌어올렸다는 평을 받는다. [출처: PNU FOCUS] 이은수 석박사통합과정생(지도교수: 오민철) 광자기술 학술회의 우수논문상 수상 작성자 정해진 조회수 455 첨부파일 0 전기전자공학과 석·박사통합과정 이은수(18학번, 사진 오른쪽) 학생이 ‘2022 Photonics Conference 제31회 광자기술 학술회의’에서 ‘우수논문상’을 수상했다(지도교수 오민철).이은수 학생은 ‘폴리머-실리콘나이트라이드 광도파로 모놀리식 집적 기술을 이용한 위상변조기 소자’에 관한 논문으로 선정됐다. 이번 연구에서는 우수한 열광학 특성을 지닌 폴리머 재료와 고집적화가 가능한 실리콘나이트라이드 재료를 함께 이용해 라이다(LiDAR)용 광위상배열 소자를 구현했다. 이종 재료를 이용한 광도파로를 하나의 기판 위에 집적시키는 것이 가능함을 실험적으로 증명한 최초의 연구로 호평을 받았다.시상식은 11월 30일부터 12월 2일까지 강원도 평창 알펜시아 리조트에서 개최된 학술회의에서 개최됐다. [출처: PNU Focus] IDEC 창의 회로설계 챌린지 장려상 2팀 수상 작성자 정성경 조회수 726 첨부파일 0 우리 학과의 2개 학생팀이 11월 18일 대구 엑스코에서 개최된 ‘IDEC 2022 창의 회로설계 챌린지(Creative Circuit Design Challenge)’에서 장려상을 각각 수상했다.‘LCK’은 이동혁·김경민·최성운(18학번) 학생이 팀을 이뤄 ‘난수 발생 회로를 통한 Near-Field HF 대역 RFID 카드 보안 강화’(지도교수 김상길)로 선정됐으며, 최성우·어성재·황도윤(18학번) 학생으로 구성된 ‘TeamPACA’는 ‘룸 롤러 자동청소기’(지도교수 박성윤)로 수상했다.한편, 이번 대회는 전국 전자공학 관련 학과 학부생을 대상으로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문제해결 능력을 가진 인재 육성을 위해 마련됐다.** 출저 : 부산대학교 홈페이지 PNU 포커스 하노겸 박사과정생(지도교수: 김상길) 한국전자파학회 논문 공모전 장려상 수상 작성자 정해진 조회수 569 첨부파일 0 전기전자공학과 하노겸(22학번, 사진) 박사과정생이 한국전자파학회와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에서 주최한 ‘제21회 전파분야 대학(원)생 논문 공모’에서 장려상을 수상했다.(지도교수 김상길)하노겸 학생은 ‘CIPepoxy 복합물을 이용한 홀-패턴 저자세 저반사 Ka 대역 전자기파 흡수체’에 관한 연구로 수상했다.이 논문은 상용 CIPepoxy 복합물의 물성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전자기적 특성을 고려한 홀-패턴을 이용해 전반적인 흡수능을 향상시키는 것에 대한 이론 및 실험적 내용을 담고 있다.이번 논문 공모전은 전파분야 우수 인재 발굴·육성 및 전파산업 진흥과 전파 기술, 전파 정책 수립을 위해 마련됐다. 대회 시상식은 11월 18일 서울 The-K호텔에서 열린 한국전자파학회 정기총회에서 개최됐다. [출처: PNU FOCUS] 반도체 트랜지스터 공정 캠프 개최 - 부산대 반도체 특성화 사업단 작성자 관리자 조회수 684 첨부파일 0 부산대학교 반도체 특성화 사업단(단장: 전자공학과 이성식 교수)는 지난 11월25일 주관 및 참여학과(전자공학과, 전기공학과) 학부생들을 대상으로 한 반도체 트랜지스터 공정 1차 캠프를 열었다. 이날 두 학과에서 총 60 여명의 학생들이 참석하여 반도체 분야에 대한 관심을 확인하는 자리가 되기도 하였다. 이번 캠프 프로그램은 사업단장의 정부 반도체 육성정책 설명과 반도체 트랜지스터 기술 관련 강의로 시작되었고, 차단영 연구원(대학원 전기전자공학과 박사과정)의 전자공학과 공정설비만으로 개발된 반도체 트랜지스터 단위소자 공정 전과정에 관한 소개 발표가 이어졌다. 마지막에는반도체 트랜지스터 공정 교육을 위해 인텔 등의 실리콘 벨리 주요 기업들이 참여하여 제작한 실리콘 트랜지스터 공정 교육 비디오 상영이 있었다. 차단영 연구원은 전자회로의 기본 단위인 트랜지스터의 단위공정 개발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전자공학과 주도로 개발된트랜지스터 단위공정을 자세히 설명하였으며, 사업단장 이성식 교수는 이번 정부가 내 놓은 반도체 육성정책은곧 반도체 관련 기업에서 핵심적으로 요구하는 트랜지스터 전문 인력이라는 것을 강조하며, 이런 의미에서이번 반도체 트랜지스터 공정 캠프가 갖는 의미가 더 깊다고 말했다. 사업단에서는 다가오는 겨울방학 동안 소수의 인원을 선발하여 전자공학과에 구축되어 있는 지능형반도체공정실 인프라를 이용하여 ‘반도체 트랜지스터 공정 실습 캠프’를 개최하고 실제로 학부생들에게반도체 트랜지스터 공정 전과정을 직접 체험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계획이다.(전자공학과 지능형반도체공정실에서 제작된 실제 트랜지스터 및 회로 현미경 사진) 성경모, 조성훈 학생 대한의용생체공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우수논문상, 우수포트터논문상 수상(지도교수: 엄경식) 작성자 정해진 조회수 553 첨부파일 0 전자공학과 석사과정 성경모, 조성훈(지도교수: 엄경식) 학생이 지난 11월 3일부터 5일까지 3일간 대한의용생체공학회 주관으로 열린 ‘대한의용생체공학회 2022년 추계학술대회’에서 ‘우수논문상’, ‘우수 포스터 논문상’을 각각 수상하였다. 성경모 학생은 “무선 전력 전송을 이용한 수동 소자 기반의 다채널 신경 자극기 개발” 논문에서 Neuropathic pain management를 위한 삽입형 신경 자극 시스템의 설계 및 생체 내 검증 연구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우수 논문상’ 수상자에 선정됐다. 조성훈 학생은 ‘Ex-vivo Verification of the Optical Neural Interface System’ 논문에서 광 유전학 기반 인공시각장치를 위한 광신경인터페이스 시스템의 생체 밖 검증 연구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우수 포스터 논문상’ 수상자에 선정됐다. 부산대 반도체 특성화 사업단 1차 워크숍 개최 작성자 관리자 조회수 690 첨부파일 0 지난 11월 1일 농심호텔 사파이어 홀에서 '부산대학교 반도체 특성화 사업단 1차 워크숍'이 개최되었다. 이날 전자공학과(주관) 및 전기공학과(참여) 교수진들, 기획부처장을 비롯한 본부 직원들, 공대학장을 비롯한 공대본부 직원들을 포함하여 총 26명이 참석하였다. 사업단장(이성식 교수)의 개식사 및 사업단 진행 현황 보고를 시작으로 공대학장(기계과 최재원 교수)의 '공과대 반도체 발전 전략' 발표, 교육인증원장(전기과 이해준 교수)의 '공학교육과 반도체 육성'에 대한 강의가 있었고, 이어서 공대 반도체 TF 실무를 총괄하고 있는 사업단장의 '동남권 반도체 육성과 부산대학교의 역할'에 대한 세미나가 있었다. 지금 정부와 산업체가 요구하는 반도체 인력은 곧 '트랜지스터 인재'라는 것을 도출하고 공감대를 형성하는 자리가 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소위 '트랜지스터 인재 양성'을 위해 특화된 반도체 트랜지스터 교육 과정 개발(소자, 재료, 회로 분야), 인프라 구축 (공정, 장비 분야) 등을 유기적이고 통합적으로 추진해야하고, 이를 위한 체계구축의 필요성을 공감하는 자리였으며, 이러한 소위 제대로된 반도체 교육을 기반으로 앞으로 동남권 특화분야로 차량용 반도체에 방점을 찍고 명실상부 반도체 명문대학으로 거듭나고자 하는 의기투합의 자리가 되었다. 한편, 지난 10월 27일 공과대학은 UNIST 공대 및 한국반디학회와 동남권 반도체 육성을 위한 MOU체결식을 가졌고, 이날 사업단장은 부산대 공대를 대표하여 '부산대학교 반도체 육성 전략'을 발표하였다(관련 기사: https://www.etnews.com/20221027000225). 2022학년도 1학기 전자공학과 Best Teacher 시상(2022년 10월 25일) 작성자 정성경 조회수 540 첨부파일 0 부산대학교 전자공학과는 2018년 Best Teacher 상을 제정, 그 여섯 번 째 수상자에 대한 시상식을 지난 10월 25일에 가졌다. 2022학년도 1학기 회로이론II 과목을 강의한 김상길 교수와 논리회로를 강의한 송재영 교수가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본 상은 교수들이 각자가 맡은 전공과목 강의에 열과 성을 다해 임하고, 이를 통해 인재 양성에 기여하여 교육 발전에 헌신한공을 기리기 위해, 전자공학과 동문회의 후원으로 학과 창설 50주년을 기념해 지난 2018년 제정되었다.강의에서 학생들로부터 받은 강의평가 결과 점수를 기준으로 최고득점자 두 분을 선정(최근 2년 내 수상자는 선정 대상에서제외), 매 차 학기 초 시상하고 있다.** 좌 : 김상길 교수님, 박주성 교수님(전자공학과 동문회장), 우 : 송재영 교수님, 박주성 교수님(전자공학과 동문회장) 이길주 교수 공대 「우수 연구자상」 수상 작성자 정해진 조회수 821 첨부파일 0 공과대학(학장 최재원)은 대형국책사업을 유치해 성공적으로 운영하거나, 우수 연구성과를 세계적으로 저명한 논문에 게재한 소속 교수들에게 「STAR 연구자상 및 우수 연구자상」을 수여해 오고 있다. 이 상은 공과대학 교수들의 사기진작과 연구의욕 고취를 위해2020년 2학기 신설되었고,2022년 8월 17일 4번째 시상식이 개최되었다. 이날 시상식에서 전자공학과 이길주 교수가 우수연구자상을 수상했다. 이 상은 세계적으로 저명한 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한 교원에게 수여하는 상으로 이길주 교수는 Impact Factor (IF)가 29.368 이며 JCR상위 4%이내의 에너지 분야 최상위 저널인 Advanced Energy Materials 에 '복사 냉각 집적 태양전지 효율 및 수명 증대 관련 연구결과'를 게재한 성과를 인정받아 수상자로 선정되었다.이길주 교수는 “부임한지 아직 1년이 되지 않은 시점에서 우수 연구자상을 수상하게 되어 더 기쁘게 생각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연구실 내 학생들과 재밌고 흥미로운 연구를 즐겁게 하고 싶다”고 전했다.(그림: 출판된 논문의 첫페이지) 전자공학과 김재호 교수님 정년퇴임 기념행사 개최(2022년 8월 29일) 작성자 정해진 조회수 767 첨부파일 0 부산대학교 전자공학과에서 30여년간 영상통신 분야의 학문 연구과 강의에 애쓰셨던 김재호 교수님께서 올 8월 말일로 재직생활을 마무리하여 정년퇴임하십니다. 정년 퇴임을 축하드리고 그간 교육과 연구에 헌신하신 노고에 감사드리는 기념행사를 학과 교수님들과 함께 8월 29일 가졌습니다. 박영훈 학생 OPC 2022에서 우수논문상수상(지도교수: 엄경식) 작성자 정해진 조회수 798 첨부파일 0 전자공학과 석박사통합과정 박영훈(지도교수: 엄경식) 학생이 지난 7월3일부터 6일까지 4일간한국광학회(OSK) 주관으로 열린 ‘OPC2022(=Opticsand Photonics Congress 2022)’에서 ‘우수논문상’을 수상하였다.박영훈 학생은 ‘FocusedUltrasound-assisted Delivery of Gold Nanoparticle to Retinal Ganglion CellLayer’ 논문에서 집속 초음파를 이용하여 모양과 크기가 다른 금나노입자를 망막신경절세포층(=RetinalGanglion Cell Layer)에 비침습적으로 전달하였으며, 그 결과를 이광자 현미경(=Two Photon Microscope)을 이용하여 검증 및 분석하였다. 이는망막 질환 치료를 위한 비침습적 약물전달, 광신경인터페이스 기반의 인공시각장치 개발 등에 사용될 것으로기대되고 있다. 전자공학과 김재호 교수 MDPI 『센서스』 최고논문상 수상 작성자 정해진 조회수 962 첨부파일 0 전자공학과 김재호 교수와 Guoxu Liu(류궈시) 박사, 전기전자공학과 박사과정 Joseph Christian Nouaze(누아즈 조셉 크리스티앙), Philippe Lyonel Touko Mbouembe(투코 음부엠베 필립 리오넬) 학생이 스위스의 MDPI 출판사에서 간행하는 국제학술지 『센서스(Sensors)』로부터 5월 20일 ‘2022년 최고논문상(Best Paper Award)’을 수상했다.연구팀은 ‘YOLO-Tomato: A Robust Algorithm for Tomato Detection Based on YOLOv3(욜로-토마토: 욜로V3에 기반한, 탄탄한 토마토 감지 알고리즘)’에 관한 논문에서 인공지능 딥러닝을 이용해 실제 환경의 토마토 농장에서 토마토를 감지해 생산량을 예측할 수 있도록 했다. 특히 잎과, 농장 구조물들, 다른 토마토에 가려진 토마토들까지 사람의 눈에 가까이 정확하게 감지하는 능력의 연구결과를 보고해 그 우수성을 인정받았다.* 논문 바로 보기: https://www.mdpi.com/1424-8220/20/7/2145* 사진: 김재호(왼쪽 두 번째) 교수와 연구팀 학생들 [출처:PNU Focus] 처음 1 2 3 4 5 6 7 8 9 끝 처음 다음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