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과대학 학장
최 재 원
College of Engineering, Pusan National University
부산대학교 공과대학, 대한민국의 미래입니다.
대한민국 최초의 국립대학교인 부산대학교의 공과대학을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부산대학교 공과대학은 1954년 토건공학, 기계공학, 화학공학, 섬유공학을 시작으로, 지금은 전국의 공과대학 중에서 가장 선택의 폭이 넓은 15개의 세부전공 학과를 두고 있습니다.
부산대학교 공과대학에는 현재 국내 최고 수준의 능력을 갖춘 230여 명의 전임 교수님들이 교육과 연구에 몰두하고 있으며, 7,500여 명 학부생과 1,500여 명의 대학원생이 교수님들과 함께 우수한 연구결과를 도출하고 있습니다. 그동안 공과대학의 졸업생은 5만 여명으로 산업체와 연구기관에서 엔지니어 및 연구원, 나아가 최고경영자로 활약하고 있습니다.
동남권은 인부산(in Busan), 수도권은 인서울(in Seoul).
동남권은 철강-자동차-석유화학-조선해양-항공-로봇산업 등이 집중된 대한민국 기간산업과 제조업의 메카입니다. 포스코-현대자동차-SK에너지-현대중공업-삼성중공업-두산중공업-한화테크윈-한국항공우주-LG전자-LG화학 등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대기업이 포항-울산-부산-거제도-창원-여수-광양으로 이어지는 동남권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또한, 한국전기연구원-한국재료연구원-한국세라믹연구원-국방기술품질원-한국생산기술연구(동남권본부), 한국해양연구원 등의 많은 국책연구기관도 동남권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부산대학교 공과대학은 동남권의 산업체와 연구기관에 필요한 핵심 인력을 양성하는 지역거점 교육 및 연구기관 입니다. 이런 이유로 부산대학교 공과대학은 국내 최고 수준인 80% 이상의 취업률을 지속적으로 보였으며, 산업이 침체했던 최근에도 76% 이상의 높은 취업률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부산대학교 공과대학, 당신의 미래를 밝혀 줍니다.
현재까지 부산대학교 공과대학은 "창의성을 가진 엔지니어, 종합적 설계능력을 가진 엔지니어 및 윤리의식과 책임감이 강한 엔지니어"의 양성을 교육목표로 우리나라 공학교육을 이끌어왔습니다.
향후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DNA(데이터·네트워크·인공지능) 활용 능력을 갖춘 인재 양성에 초점을 맞추어, 첨단기술 교육 및 체험 인프라를 활용해 학생들에게 DNA를 심고, 산업 현장에 응용할 수 있는 역량을 키워줄 계획입니다. 또한, 대학원생의 국제화와 산업적 응용 능력 향상에도 노력해서 국제적 감각과 실용적 연구를 담당할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우수한 인재를 양성하도록 하겠습니다.
부산대학교 공과대학, 그 발전과 성장에 함께하기를 기대합니다.
부산대학교 공과대학
학 장 최 재 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