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C와 현대중국 강의계획표
Syllabus: The 21th Century and Current China
 

담당교수
instructor

년도
year

학기
semester 

교과목번호
course number 

교과목명
course name 

분반
section 

김혜준
KIM,HYE-JOON 

2001

1학기

ZD11314

21C와 현대중국
The 21th Century and Current China

011



(1) 교수목표 및 수업내용 (course objectives, description & schedule)

교수 목표 :
  중국의 현재 상황 이해
  중국인의 사고와 행동 이해
  중국의 미래에 대한 예측

교수방법 :
  1) 중국의 현 상황을 이해하기 위해서 정치·경제·지리·역사·문화 등 각 분야별 개황을 강의한다. 강의시 필요에 따라 Internet / Video Tape / CD ROM / Power Point 등 시청각 수단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2) 과제 : 중국과 중국인을 이해할 수 있는 자료를 섭렵하고 그에 관한 비평문을 작 성하여 제출한다. 비평문의 분량은 보고서 용지(또는 노트) 3쪽으로 하고, 논문작성 요령에 의거하여 반드시 필기로 작성한다. 특히 참고문헌을 제시하고, 인명ㆍ지명 등 고유명사는 한자로 쓴다.
  3) 강의자와 수강자는 홈페이지 및 전자우편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강의자 홈페이지 주소 : http://home.pusan.ac.kr/~dodami
      강의자 전자우편 주소 : dodami@pusan.ac.kr

주별계획 :
  제 1주   3/05,3/07   교수계획 설명, 수강의견서 제출
  제 2주   3/12,3/14   현대중국의 역사
  제 3주   3/19,3/21   현대중국의 지리, 인구, 민족
  제 4주   3/26,3/28   중국의 음식, 풍속, 관광
  제 5주   4/02,4/04   중간토론, 비평문 제출(1)
  제 6주   4/09,4/11   현대중국의 문자와 언어
  제 7주   4/16,4/18   현대중국의 문학
  제 8주   4/23,4/25   (중간고사)
  제 9주   4/30,5/02   현대중국의 영화
  제10주  5/07,5/09   현대중국의 대중문화
  제11주  5/14,5/16   중간토론, 비평문 제출(2)
  제12주  5/21,5/23   현대중국의 정치, 경제, 사회
  제13주  5/28,5/30   화교와 중화공동체
  제14주  6/04,(6/06) 학기말 종합토론, 강의 평가
  제15주  6/11,6/13   (기말고사)


(2) 평가방법 (requirements & grading)

  1) 수업 참여도 및 적극성.
  2) 과제의 충실도.


(3) 주교재 (required textbook)

  김혜준 엮음, 《21세기와 현대중국》, (부산 : 부산대중문과, 2001.3)


(4) 부교재 및 참고문헌 (secondary textbook & references)

  1) 강춘화, 《당대중국학 입문》, (서울 : 박영률출판사, 1998)
  2) 송봉규 외, 《중국학 개론》, (서울 : 동양문고, 1998)
  3) 고영근, 《중국학 입문》, (부산, PUFS, 1997.11)
  4) 김종현, 《12억이 사는 나라》, (부산 : 늘함께, 1998)
  5) 중국민정부 중국사회출판사 편저, 김하림 옮김, 《중국인도 다시 읽는 중국사람 이야기》, (서울 : 에디터, 1998)
  6) 王順洪 편, 최영제 등 옮김, 김혜준 펴냄, 《중국개황》, (부산 : 부산대중문 과, 1998)
  7) 韓曉武, 최재혁 등 옮김, 김혜준 펴냄, 《중국 국가기구 개황》, (부산 : 부산대 중문과, 1997.2)
  8) 김미희 원신희 외 엮음, 김혜준 펴냄, 《현시기 중국의 이해》, (부산 : 부산대 학교 국제대학원, 1998.11)
  9) 김혜준 고혜림 장미선 천세연 엮음, 《중국의 현재》, (부산 : 부산대학교 ISPP, 1999.11)
  10) 寇立光 李玉芝, 부산대 중문과 1998년 2월 졸업생 옮김, 김혜준 펴냄, 《중국 영화로의 초대》, (부산 : 부산대 중문과, 1998.2)
  11) 기타 참고 문헌 : 김혜준 편, 〈한글판 현대 중국 관련서적〉 등.

  * 6)번 이하의 자료는 강의자 홈페이지
http://home.pusan.ac.kr/~dodami 에서 다운 받아서 사용할 것.

 


Return H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