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글은 참고용으로, 부산대학교 인문대학 철학과 9504303 고용훈 군이 제출한 보고서입니다.

 

중국의 현대 교육 제도와 우리의 현실 인식

 

2001년 6월 12일 고  용  훈

 

한 나라의 교육은 그 나라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내다 볼 수 있는 좋은 본보기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런 만큼 교육은 그 나라의 운명을 결정 지을 수 있을 만큼 그 중요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우리 나라를 살펴보더라도 그러한 모습은 쉽게 살펴 볼 수 있다. 우리 나라는 요즘 '교실 붕괴'라는 말을 쉽게 들을 수 있을 만큼 그 교육적 환경 및 여건이 많이 흔들리고 있다. 지나친 입시 위주의 교육 현실은 학생들의 창조성 및 개성을 살리기에는 미흡한 점이 많이 노출되어 있고, 학생들 스스로도 그러한 현실을 이겨내지 못하고 중도에 낙오하는 학생이 많이 생기고 심지어는 기존의 제도권 교육을 부정하고 대안 학교의 여러 형태의 학교들이 많이 생겨나고 있는 실정이다. 학생이나 학부모 이제는 교육의 수혜자이기 보다는 교육의 수요자로서 그 수요의 요건을 갖추지 못한 학교는 도태되고 점점더 많은 학생이 제도권 교육보다는 다른 교육의 여건에 시선을 돌리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현실을 보고 우리는 우리의 교육을 반성할 필요가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또다른 예로 내가 금번 5월, 4주간 교육 실습을 다녀왔는데 일선 학교에서는 그러한 모습을 직접 보고 느낄수가 있었다. 마침 학교가 중간 고사 기간이었는데, 학생들의 시험 치르는 모습은 예전과는 많이 달라진 것 같은 느낌을 받았다. 적어도 우리 때는 시험 종료시간 까지 끝까지 풀어보려고 하는 친구들이 많았던 것 같았는데, 요즘의 학생들은 자기가 모른다거나 공부를 많이 못한 경우에는 일찍 치고 종료시간까지 잠을 자는 학생들이 많이 있었다. 물론 우리 때도 그런 학생이 없던 것은 아니다. 그러나 그 때보다는 많이 늘어났다는 것이다. 그것은 학생들이 평소에 수업시간에 충실히 한다기 보다는 관심 있는 과목이나 신경 쓰고 그렇지 못한 과목은 소홀히 한다는 증거가 아닌가 한다. 그리고 학생들의 태도 역시 많이 달라진 모습을 볼 수 있었다. 학생들은 선생님에 대한 권위를 크게 인정하는 모습을 보기가 어려웠고 그저 친한 모습을 보여준다거나 편한 선생님이 그들에게는 인기가 있었고, 그들의 중심으로 수업을 맞춰가는 듯한 느낌을 받았다. 비록 모든 학생이 같은 교과목을 배우고 같은 환경 속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지만 그들이 생각하는 것이나, 행동하는 모습은 대부분 일률적이고 자기 중심적이었다. 이러한 현실들이 그들의 잘못만은 아니라는 것을 모르는 바가 아니나, 정작 중요한 것은 그들의 사고 방식이나 생활 태도가 과거와는 많이 달라졌다는 인상은 지을 수가 없었다. 무엇이 이러한 현실을 만들었을까? 그것은 아까 앞서 말한 바와 같이 교육이라는 큰 과업 앞에 우리가 너무나 소홀히 하였던 것이고, 근.현대사를 통해서 알 수 있듯이 우리의 교육이 학력위주의, 입시 위주의 교육으로 우리의 학생들을 무기력하게 만들었으며 더욱이 그러한 교육 정책을 입안하는 우리 제도권 교육 정책의 부실함을 그 원인으로 꼽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맥락 속에서 나는 우리의 교육을 걱정하는 마음으로 중국의 교육제도를 살펴보고 중국의 미래와 우리의 미래의 모습을 한 번 살펴볼까 한다. 그것은 자체내의 문제를 주위의 모습과 비교해봄으로써 진단할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기 때문이다. 또한 중국은 지금 점점 커오고 있는 국가이고, 세계의 그 존재를 알리고 있는 실정이므로, 그 중국에 대한 우리의 모습을 반성함으로써 미래의 우리의 대응 방안을 고찰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먼저 우리 나라의 교육제도부터 잠깐 살펴보면 우리 나라는 초등학교 6년, 중학교 3년, 고등학교 3년, 대학교 4년의 교육제도를 수행중이다. 그리고, 대학은 2년의 전문대학의 경우가 있으며, 초등학교 취학전 유아 교육으로, 유아원과 유치원이 있는데, 의무 교육은 아니다. 그런데, 우리 나라는 현재 중등학교에서, 학생들을 너무나 죄고 있는 실정이다. 중학교에서는 인문계 고등학교를 위해 수업이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고, 고등학교에서는 대학진학을 위해 수업이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 만큼 여기에 대한 사회의 비판적 목소리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인데, 중등 교육 6년 동안 우리학생들은 창의성과 개성의 강조보다는 진학을 위한 그리고 학교의 진학률에 희생양이 되어 그 시간을 보내고 있는 것이다. 거기다가 더욱 걱정스러운 것은 초등학생 때부터 조기 영어 교육으로 인해 어린 학생들은 어릴 때부터 영어 학원을 오가거나 각종 학원으로 시달리고 있으며, 중. 고등학생들도 학교 수업은 학교 수업대로 받고, 방과후에는 또다시 학원으로 전전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른 사회적 손실도 무시 할 수 없는 실정인데, 각종 사교육비가 엄청난 액수를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각종 문제점은 우리 나라의 경쟁력을 실추시키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이유로 우리의 대학교육 역시 힘을 잃어 가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우리의 교육의 문제점을 생각하며 중국의 교육 제도를 하나하나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중국의 학제

고대중국은 세계의 문명국이었다. 찬란한 역사와 유교문화의 전통, 자급자족의 농업경제기초하에서 중국은 오랜세월 세계사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청조말기까지 중국은 정치, 문화, 교육대국이라는 우세심리가 계속 유지되었다. 이런 심리는 중국인들로 하여금 전통문화와  교육을 고수하고  견지 하게끔 만들기도 한 반면  다른 한편으로는 사람들이 더 넓은 시각으로 중국이외의 다른 민족의 문화를 대하는데 제약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하였다. 즉 서방의 현대과학기술마저도 대수롭지 않은 것으로 보게되었다.

1898년의 百日維新(무술정변)운동이 실패한 후 그들이 주장한 교육개혁도 마찬가지로 냉대를 받았는데 그 중에서 성과라면 북경에 세운 大學堂이 남은 것이다. 1901년 1월 29일(光緖  26년 12월 10일)  청정부는 <변법>을  실시하여 <新政>을 요구했다.  일련의 개혁을 통해 수나라때부터 실시했던 과거제도는 비교적 현대적인 <新學制>에 의해 대체되었다. 이로서  중국고대 교육은 형식적으로 완전히  끝이났고 새 교육제도가 시작되었으며  현대교육의 틀이 형성되었다. 1902년의 <欽定學堂章程>(壬寅學制)와 1903년의<秦定學堂章程>(癸酉學制)가 있다.

壬寅學制는 중국초기현대교육 최초의 완벽한 학교체계였는데 管學大臣 張自熙가 제정한  몇 개의 章程으로  이루어졌다. 癸酉學制는 중국 최초의 비교적 완벽한, 또 法令으로 정식공포하고 전국적으로 실시한 학교체계였다. 이 학제는 普通敎育, 高等敎育, 職業敎育, 師範敎育(교원양성학교), 學前敎育(유아교육)등이  포함되는데 職業敎育과 師範敎育을 중시한 것이 이 學制의 가장 큰 특징으로 꼽힌다. 중국의 현재의 全日制學校 학제는 6, 6, 4制이다.

1. 유치원

3세 이상의 연령의 학생을 모집하며 초등학교는 만6세 이상이면 입학 가능하고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학제는 6년, 3년제와 5년, 4년제를 지역별로 병행 운행하고 있다. 고등학교 학제는 3년이다. 일반대학의 학제는 4년인데 일부 이공계열 대학은 5년이다. 석사과정은 2~3년이며 박사과정은 3년이다.

2. 초등학교

중국에서는 공고,시행하는 "의무교육법"에 의하면 전국 각지에서는 반드시 초등교육을 보급해야 한다. 초등교육의 주체는 전일제 초등학교이며 학제는 6년이다. 학과목은 이념, 덕성, 국어, 수학, 자연, 역사, 지리, 미술, 음악, 체육이며, 1992년 전국 국민학교 재학생수는 1억2,201만명, 국민학교 졸업생의 중학교 진학률은 79.7%이다.

3. 중등교육

보통중학교 교육과 중등직업 기술교육을 포함한다. 보통중학교 교육은 초급 중학교와 고급 중학교(고등학교)2개 단계로 나누는데 학제는 각각 3년씩이다. 보통중학교의 학과목은 국어, 수학, 외국어, 정치, 역사, 지리, 물리, 화학, 생물, 체육, 음악, 미술, 위생, 노동기술을 포함 한다. 지, 덕, 체가 우수한 우등생에 대해서는 진학시험을 면제한다. 7~11세 아동의 입학율은 90.9%, 졸업율은 77.7%로 1990년도에 비해 3.2% 증가 하였다. 1992년 전국 중,고등학교 재학생수는 각각 4,065만9천명, 704만9천명이다.

중등 직업기술 교육은 중등전문학교, 기술학교, 직업학교로 나누는데 학제는 2~3년, 3~4년 등 같지 않다. 중등 전문학교와 직업학교는 공과, 농과, 임과, 의약, 재정, 경제, 사범, 체육, 예술 및 정치, 법률, 문화, 교육, 관광, 요리, 공예 미술등 전공과목을 설치하고 기술학교는 주로 중급기술공을 양성한다. 1992년 전국 각종 중등 직업기술학교 재학생수는 682만8천명(이중 기술학교 학생155만6천명)이었다.

4. 고등교육

중국에서는 이미 다양한 차원, 형식의 고등교육체계가 형성되었다. 중국의 대학교는 종합대학, 전문대학, 또는 학원을 포함한다. 본과대학은 일반적으로 학제가4년(의대 등은 5년), 전문대학은 다수가 3년(2년과정도 있다)이다. 유명한 대학으로는 북경대학, 청화대학, 복단대학, 남개대학, 중국과학기술대학, 남경대학 등이 있다. 1992년 일반대학교 재학생수는 218만4천명 이다.

중국의 대학교는 전국 통일 입학시험을 친다. 학교는 수험생들의 성적, 신체상황 및 응시지원에 따라 우수한 학생을 선택, 입학 시킨다. 졸업생은 현재 원칙적으로 국가가 책임지고 일정 범위 내에서 직업을 안내해 주게 되었지만 이것은 학교마다 차이가 있으며, 성적이 우수한 상위권 학생(일반적으로 10~15%선)외에는 대부분 스스로 직업을 찾고, 선택하고 있다. 여기에는 상당한 관계(關係)가 필요하다.

또한 북경의 대학생들 대부분은 타지역에서 올라온 학생들로서 그들의 고향보다 북경의 수준이 상당히 높기 때문에 이곳 북경에 머무르려고 한다. 그러나  북경내 업체의 수는 한정되어 있으며, 취업이 되더라도 북경 시민이 아니기 때문에 의료보험이나 주택 분배를 받을 수가 없다. 중국 북경 시민권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약500만원의 비용을 들여 시민권을 살 수 있다.

학교 운영방식은 1994년 9월 신학기부터 국가투자 및 사회자금조달에서 자비로서 공부하는 체계로서 실험적이며 부분적인 변화가 있었다. 1994년 가을 전국적으로 100개 중점대학을 선발하기 위해 여러 방면에 걸친 조사가 시행되었으며, 상당수의 중점학과, 전공과목을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211공사"계획을 실시하고 있다.

중국에서 연구생(대학원생)을 양성하는 곳은 주로 대학교와 과학연구부문이다. 1992년 전국 연구생수는 9만4천명이었다. 40년동안 대학생 졸업생수는 620만명이며, 1991년에 일러 대학 졸업생은 1만명당 3명에서 35.4명으로 증가 되었다.

매년 대학교 학생 수는 60~75만명이며 대학원 입학생 수는 매년 3만명이고 박사 연구생은 3천명에 이르러 고등교육 졸업생수가 112.19만명이다. 1978년 이래 국가 유학생이 매년 3,000명이상 이며 1992년 까지 국가 유학생과 자비 유학생 수가 19만명에 달하며 86개 나라에 유학하여 공부하고 있으며 그 중 6만명은 귀국하여 사회각처에서 활동하고 있다.

1989년 통계에 의하면 1만명 당 대학생수는 미국은 514명, 일본은 200명, 구소련은 184명인데 비해 중국은 35명으로 선진국에 비해서는 아직 교육부문의 발전이 늦은 편이며 현재 중국에는 문맹인 수가 1.8억명이 있다.

5. 성인교육

중국의 성인교육은 매우 활발하게 운영되며 방식도 다양하다. 라디오 방송대학, TV방송대학, 직공대학, 농민대학, 통신대학, 야간대학, 관리간부학원, 교육학원이 있는가 하면 각종 성인 중등전문학교, 기술양성학교 및 문맹퇴치반, 소학반, 기술반 등도 있다. 성인교육을 받는 사람들은 지식갱신을 위한 사람도 있고 기능습득 및 문화수준 향상을 위한 사람도 있다.

건국이후 40년동안 일반대학은 1,075개소, 대학교 재학생 수는 208,21만명, 고등,중학교 수는 8.96만개소, 재학생 수는 4,454만명, 초등학교는 77.72만개소, 재학생 수는 12,373,.1만명, 유치원은 17.26만개소, 재학생수는 1,847.66만명으로 되었다. 92년에 이르러 아동입학율은 97.95%, 중학교 진학률은 79.61%이다.

전체적으로 중국의 교육제도를 요약해보면 중국정부에서는 교육을 우선발전항목으로 두고, 현재도 계속해서 교육체제의 개혁을 이루어, 지금은 9년제 의무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동시에, 각급 정부기관에서는 교육에 대한 투자를 계속 하여, 다양한 방식과 형태의 학교경영을 장려하고 있다. '현대화를 향하여, 세계를 향하여, 미래를 향하여'는 중국교육발전 방향으로, 교육개혁과 건설을 선도하고 있는 모습이라 할 수 있다.

 

□ 중국 교육의 단계별 특징

이러한 중국 교육의 단계별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초등교육

普通初等敎育은 普通小學(6년) 단일체계로 구성되어 있고 成人初等敎育의 경우 소맹반(掃盲班, 문맹퇴치학교)이 있다.

2. 중등교육

중등교육의 경우  高中단계와 初中단계에 모두 비교적 복잡한 유형의 교육 형태가 존재한다.  보통 初中단계에서는 文, 理과를  나누지 않고  高中2학년때 文, 理과를 나누는데 대학입학시험 위주로 학과목을 안배한다. 理科의경우 역사, 지리 과목이 없고  文科는 물리,  화학, 생물과목이 없고 공통적으로 체육, 미술, 기술교육은 등한시하는 편이다. 대학 입학율을 높이기 위해서이다.

직업교육에 있어서 初中단계의 직업교육형식으로는 普通初中에 직업기술 과목을 안배하는 경우가 있고, 또 初中 졸업 또는 初中3학년에 가서 1년간 직업기술을 가르치는 경우가 있으며 初等職業技術學校 (대부분 農業 初中)도 있다. 그중 初等職業技術學校는 소학교 졸업생 대상의 3∼4년 교육과정인데 주로 초급기술자와 실용기술이 어느 정도 있는 농민, 상인 및 기타 업종의 인력을 가르친다. 이는 주로 농촌경제가 발달하지 못한 지역의 초급인재에 대한 수요를 만족 시키기 위한 것이다. 사회경제발전수요에 의해 初等職業技術敎育을 강화할 필요가 있지만 전문적인 初級職業技術學校는 발전가능성이  없어  점점 적어지거나 또는 다른 형식의 初等職業技術敎育에 의해 대체되는 추세이다.

중국에서는 高中단계에서의 직업기술교육을 中級職業技術敎育이라고 부르는데 아래와 같은 세가지 유형이 있다. 하나는 中等專功學校인데 中級技術인원, 관리인원 및 기타 中級전문인력을 양성한다.  이런 학교는 初中졸업생을 받아들이는데 學制는 거의 4년이고 일부 학교가 3년이다. 80년대부터는 이런 中等專功學校에서 高中졸업생을 좀  많이 받아들였는데 이 경우 學制는 2년이고 이름은 <大中專>이라고 불렀다. 지금은 이런  상황이 많이 변화되고 있는데 모집생수에서 初中졸업생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

다른 하나는 技工學校인데 4級∼6級의 技術工을 양성하는 학교이다.  이런 학교는 이전의 취업제도의 산물인데 初中졸업생을 모집하고 學制는 원칙상 3년이다. 최근에는 일부 高中졸업생도 모집하는데 學制는 1∼2년이며 이런 학생들은 거의 5년동안이나 高中단계의 교육을 받는셈이기 때문에 모순이 없지 않지만 현재 사회의 실정을 고려하면 이 역시 필요한 것이다.

세번째 유형으로는 中等職業學校인데 다시 말하면 職業高中이다. 이 학교는 中級기술 또는 관리인력 및  中級技術工과  기타 中, 初級인력을 양성한다. 이런 학교는  中等專功學校와 中等技工學校의 혼합물인데  주로 初中졸업생을 모집하고 學制는 대부분  3년이지만 일부 전공 또는 일부지역에서는 2년제를 채택하기도한다. 그밖에 또 中等職業短期培訓형식이 있는데 普通高中 졸업생 또는 高中3학년의 일부학생을 모집하여 1년간 연수후 졸업시킨다.

職前培訓 역시 中等專功敎育중 간과할 수 없는 한가지 유형인데 初中 졸업생 또는 高中졸업생들이 취업전에 훈련하는 학교이다. 學制는 몇 개월에서 1년이상되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수요에 따라 정할 수 있다.

3. 고등교육

高等敎育의 유형에는 單科型(한가지과목), 綜合型과 多科型(여러과목)의 세가지가 있다. 單科學院은 한가지 과목으로 된 대학인데 4∼5년제의 本科學院과  2∼3년제의 大學專科學院 두가지가 있다.  중국의 현재 대학교육은 單科學院 위주로 예를들면  北京學院路 주변에는 郵電學院, 電影學院,  航空學院, 地質學院, 語言學院 등 수많은 학교가 밀집되어 있는데 이런 학교는 모두 單科型의 학교이다. 중국의 高等專科學校는 單科學院중 비교적 낮은 수준의 학교 이다. 綜合대학교는 크게 세가지로 나눌 수 있다.

- 학과목 범위가 넓은 綜合대학은 文, 理科系뿐아니라  각종 전문적인 職業科도 설치한다. 예를들면 大學아래 文學院, 理學院, 敎育學院, 醫學院, 法學院 등을 설치한다.

- 다양한 기초학과목을 설치 운영하는 학교, 다시말하면 자연과학과 사회과학방면의 다양한 전공과목을 설치한 학교이다. 중국의 수십여개의 전국적 또는 지역적인 綜合大學은 모두 여기에 속한다. 이런 학교의 科系(학부)는 보통 2∼3개 學科系列을 거느린 文, 理 종합형이다. 즉 자연과학계통의 학과 또는 專功을 설치하는데 예를들면 수학, 물리,  전자, 화학, 생물학등이 있고,  또 文科, 사회학 관련 학과 또는 專功을 설치하는데 예를 들면 중국문학, 예술, 철학, 경제학, 史학, 법학,도서관, 비서 등의 학과 또는 專功을 설치한다.

- 어느 한가지 學科系列과 일부 기초학과의 종합, 예를들면 醫科大學은 醫科系列외에 생물학, 화학, 외국어 등 專功을 설치한다.  중국의 일부 工, 農, 林, 醫 등 專門學院은 綜合型院校로 발전하고 있다.

 

□ 중국의 교육관리체계

중국의 이러한 교육은 그 모습이 하루 아침에 이루어 진 것은 결코 아니다. 그것은 과거 중국인들이 걸어온 역사를 보면 잘 알 수 있는데, 그들이 어떻게 교육을 관리 해 오고 있는지 과거와 현재의 모습을 살펴보자.

중국고대의 교육관리체계는 중국학교교육의 발전에 따라 점차 형성되고 발전된 것이다.

1898년 청정부는 경사대학당을 세워 이전의 국자감을 대체했는데 관학대신(官學大臣)이 학교를 관리했다. 이  학당은 전국최고의 학당일 뿐만 아니라 또 중앙에서 직접 통제하는 행정기구였다.

1903년  호광총독(호광총독) 장지동은 <진정학당장정>의  <학무강요>에서 <경사에  응당 전국의 학무를 다스리는 대신을  두어야 한다. …   대학교는 따로 전담자를 파견하여 관리해야 한다>고  주장 했다.  1905년에 와서는 학무대신을 폐지하고 중앙육부(6가지 행정기구)외에 정식으로 학부를 세웠는데  학부에서 전국의 교육을 총괄 관리하였다. 이리하여 경사대학당은 학당의 기능과 중앙교육관리기구 로서의 기능이 분리운영되기 시작하였다.

신해혁명후 학부는 교육부로 바뀌여졌는데 교학부 아래에 전문사, 보통사, 사회사와 총무정, 참의실, 시학처를 두었다. 교학부에는 총장(總長)을 두었는데 이 총장은 내각구성원으로서 대총통을 보좌하여 교육부의 사무를 관리하고 각부문과 직원들을  감독했다. 각 성에는 교육사를 두어 지방교육을 관리했는데 교육사는 후에 교육정으로 바뀌어 졌다. 정장은 대총통이 임명하고 성장을 보좌하여 전 성의 교육행정을 관리하고 소속된 직원과 지방교육을 담당한 각 현의 지사들을 감독하였다.  교육정은 3개과와 시학당으로 나뉘여졌다.

국민당은 남경(南京)에 국민정부를 세운후  <대학구제>를 한동안 실시했는데 국립대학의 교장이 전 성의 교육과 학술사무를  관리하고 또 중앙에 대학원을 설립했다. 그러나 실시한지 얼마되지 않아 국민들의  비난을 받아 할 수없이 1927년에 중앙의 교육부와 성의 교육청체계로 복귀하였다. 이리하여 공립과 사립 및 외국교회등 3종의 관리주체가 병존하게 되었으며 중앙과 지방의 다원화교육 관리체계가 형성되었다.

한편 중국공산당은 "신민주주의 혁명시기" 장사 자수대학, 상해대학, 광주 농민운동강습소, 무창농민운동강습소 등 공산당이 주도하는 교육기구를 설립,운영하였다. 제2차 국내혁명전쟁시기에는 공산당 간부교육과 군중문화교육을 위주로 하는 교육체계와 당, 정, 군, 민 등의 주체가 각각 학교를 설립하고 관리하는 체계가 병행되었다.  홍군학교,  쏘베트대학(蘇維埃대학), 방직대학, 노동소학, 레닌소학 등의 학교가 이때 설립 운영된 것들이다. 당 간부교육은 당, 정, 군에서 따로 관리하거나 또는 통합하여 관리했고 레닌소학은 큰 농촌에서는 단독으로 운영하고 소규모 농촌에서는 공동으로 운영했다.

항일전쟁시기에는 감간녕(섬서성 감숙성 녕회회족자치구)의 경계지역과 기타 공산당 근거지를 중심으로 당 주도의 학교들이 다수 설립되었다. 중앙당교, 항일군정대학, 섬서북부공학, 모택동청년간부학교, 중국여자대학, 노신예술학원, 연안대학, 자연과학원 등이 그당시 설립된 당 간부 교육기관 이다. 해방전쟁시기 각 해방구(해방구)의 경제발전과 건설의 수요에 따라 화북과 동북지역에 많은 연합대학과 의과대학 및 공, 농, 상 각 부문의 전문교육기관과 사법학교, 중학등을 세웠는데 이런 학교는 모두 각 지역의  정부가 관리하였다.

초등교육에 있어서는 당, 정, 군, 민, 학 등 각계의 역량을 동원하여 학교를 세우고 관리하게 했다. 해방전쟁후기에 와서 동북지역에만 학교가 5만여개 있었고 학생이 325만명 가량 있었으며 많은 공농복습교육형식이 있었다.  이당시 전국각지의 고등교육과 중등교육(주로 혼합 중학교)에 대한 관리가 점차 강화되기 시작했는 바 교육방침, 계획, 학제는 모두 대구 (당시 행정구역) 교육행정위원회에서 결정했다.

1949년 8월 중국공산당중앙위원회 동북국과  동북행정위원회에서는 그 당시의 고등학교에 대해 원래의 훈련반형식에서 정규적인 고등학교로 바꿀 것을 요구했다. 동시에 학생들의 학업에 대한 요구도 엄격해졌다.

인민공화국 수립후 40여년동안 중국의 교육관리체계는 정치경제의 상황 변화에 따라 수차례 변화되었다. 건국전 "인민해방전쟁"이 승승장구로 진척되었으므로 각지의 군사관제위원회에서는 원래 국민당이 관리하던 학교를 모두 받아들이는 한편 당간부를 파견, 학교의 사무를 관리했다.  지방각지에 인민정부가 들어섬에 따라 각지의 각급학교에 대해서 사립은 재등록토록 하고 공립학교는 국립, 성립, 현립 등 구별없이 통일시켰다.

1950년 5월∼8월중 정무원(지금의 국무원전신)은 세차례나 고등학교관리 체계에 관련된 규정을 발표했는데 그중에  아래와 같은 내용이 들어있다.

-. 중앙교육부는 전국의 고등학교를 (군사학교제외) 관리할  책임이 있고 각 대행정구 교육부는 중앙의 통일된 방침정책에 따라 본구역내의 고등학교를 관리할 책임이 있다. 그리고 화북지역의 일부 고등학교는 중앙교육부의 직접통제를 받되 기타지역의 고등학교는 당분간 대행정구 교육부에서 직접 관리한다.

-. 사립고등학교의 행정권은 중국인이 장악하고 교(원)장과 부교(원)장은 이사회에서 임명한다. 기타 주요인원은 교(원)장이 임명하고 대행정구 교육부에 그 이름을 등록한다.

-. 중앙교육부는 계획성있게 순서에 따라 각지역 고등학교의 관리권을 확보 한다. 이런 과정을 거쳐 중공정권 수립 초기의 교육관리체계가 완성되었다.

1953년 중국은 국민경제회복단계를 마무리하고  야심적인 경제건설 시기로 들어갔는데 경제건설과 고등교육을 신속히 발전시키기 위하여 중앙에 고등교육부를 신설했다. 1954년 4월, 정무원이 발표한<關于改進和發展中學敎育的指示>에는 아래와 같은 내용이 있다.  현재 성, 시의 교육청(국)(성단위는 청이고 시단위는 국이다)은 중학교 관리를 강화해야 할 필요가 있는바 학교별 등급을 나누어 관리한다. 성직시내의 중학교는 성직시에서 관리하고 연(시)내의 중학교는 연(시)에서 관리한다. 1954년 전후, 전국의 1412개 사립중학과 8925개 사립소학이 공립으로  바뀌면서  50년대의 교육관리체계가  완성되었다.

1958년 국무원에서는  전국의 중, 소학과 대부분의 고등학교, 중등실업학교, 직공학교를 성,시, 자치구정부에서 관리하게 했는데 중앙교육부에서 직접 관리하는 일부종합대학을 제외한 전국의  187개 고등학교의 관리권이 지방정부로 내려왔을 뿐만 아니라 중앙각부에서 관리하던  일부 중등실업학교와 직공학교도 지방의 장광(광산개발공장), 기업, 농장에서 관리하게 되었다.

문화대혁명은 중국의 교육사업과 한창 진행되던 교육관리체계를 심각하게 파괴하였다. 전국 각지의 도시와 진의 많은 중소학은  공장에서 넘겨받아  관리하거나  <정장반학>(학교를 졸업하면 직접 지정된 공장으로 들어가는 방식)도 있었는데 상해, 북경등 일부 대, 중 도시의 소학교는 가도판사처(도시의 구역마다 세워져 있는 정부 출장소)에서 관리하였고 농촌의 소학교는 대대 (공동으로 농사를 지을때 관리편의를 위해 마을의 사람들을 몇 개 대로 나누어 생산 노동에 참가하였음)에서 관리하였고 중학교는 공사 또는 몇개 대대가  공동으로 관리했다

1969년 10월 공산당이 발표한 <고등원교하방문제적통지에 관하여>에 의해 원래 중앙각부에 소속되어 관리받던 131개 학교의 관리권은 모두 지방정부로 내려갔는데 중앙의 유관부문에서 직접 관리하는 학교는 6개밖에 남지 않았다. 1971년 4월에는 인민대학등 45개 고등학교를  폐쇄했고  17개 대학을 중등전업학교로 고쳤으며 3개 대학교를 공장으로 바꾸는 등  이른바 <괘괘위주>라는 학교관리체계를 실시하였다. 이때 교육은 또 한번 큰 손실을 입었다. <사인방>이 실각한후 1979년 9월 중앙에서는 <건의중신사발 "가강고등학교통일관리,분급관리적결정"적보고>를 발표하였는바 이때부터 중국의 교육사업은 다시 정상화되기 시작했다.

1985년 5월 27일 중앙에서는<중공중앙 교육체계개혁에대한 결정>을 발표하여 새로 성립된 국가교육위원회의 통일적인 관리하에 중국교육체계에 대한 개혁을 진행하였다. 이후 3년에 걸쳐 중국은 각급 교육위원회의 주관하에 각부문과 사회가산하의 교육을 자율관리하는 교육관리체계가 형성되었다. 현행 교육행정관리체계중 교육부문의 최고행정관리기구는 국가교육위원회이다. 국가교육위원회는 국무원의 관리하에 전국의 교육사무를 관리한다. 성, 자치구(예를들면 서장자치구), 직할시(북경, 천진, 상해, 중경)의 교육위원회(또는 교육청,국)는 국가교육위원회와  해당인민정부 두곳의 관리를 받는다.

국가교육위원회는 국무원의 한 부처이기때문에 국무원에 소속된 각 부, 위원회,국 및 인민단체의 교육행정관리기구와는  협조적인 관계이다.  각급교육위원회는 성, 시(지구),  현 및 각 계통(시스템), 각부문,  기초(지방)사업단위 그리고 기타 경제조직 또는 사회조직이  설립한 교육관리기구에 대해 협조하고 지도해 줄 책임이 있다. 중국고등교육은 중앙, 성(자치구, 직할시),  중심도시 및 지구 (한개 성을 몇 개 지구로 나눔)등 3단계관리체계를 유지한다. 중앙급에는 국가교육위원회 직속의 30여개고등학교와  중앙교육행정학원 및 중앙각부, 위원회에 소속된  고등학교 그리고 중앙각부, 위원회에 소속된 큰 공장, 광산개방공장, 기업이 운영하는 대학이 있다. 성, 자치구, 직할시급에는 교육위원회와 기타 부문에서 설립한 대학이 있고 중심도시(지구)급에는 일부 대학 또는 고등전문학교가 있다.

중등직업기술교육은 주로 지방에서 담당하는데 여기에는 성, 지구각부문에서 설립한 중등실업학교와 성, 지구에 소속된 공장, 광산개발공장, 기업소속의 기술학교 및 여러 가지 형식의 직업중학과 성인직업기술 교육이 있다. 기초교육은 지방에서 담당하고 등급을 나누어 관리하는것을 원칙으로 한다. 다시말하면  성, 시, 현, 향의 각급지방정부와 교육행정부문에서 설립하고  관리하는데 직책에  따라 범위를 나누어 관리한다. 위에서 말한 교육행정관리시스템이 교육관리 체계망을 이룬다.

정부 각 부처에서 학교를 설립, 운영하는 것은 중국교육관리체계의 중요한 특징이었는데 지금 개혁중에 있다. 각부처에서 교육을 관리하는 체계는 중앙각부 및 그 아래의 성, 시, 청, 국, 각 부문에서 자기관할하에 있는 교육사업에 대하여 직접 관리 하는 것을 가리킨다. 동시에 동급의 교육위원회의 지도를 받는다. 중앙각부,  위원회(큰 회사도 포함)에서 설립한 고등원교는 1985년에는 296개 (국가교육위원회에 직속된 36개 대학 포함)가 있었는데 이는 보통고등학교총수의 1/3을 차지한 셈이다. 그리고 이런 학교는 규모가 크고 시설과 조건이 좋기 때문에 대학생수는 총대학생수의 45%를 차지했고 교사와 직원은 총수의 56%를 차지했으며 교육비용은 전체의 55%, 기본건설투자액은 총투자액의 70%를 차지했다. 각부처, 위원회에서는 또 중등실업학교와 보통중, 소학도 설립운영하였는바 이 역시 중국교육체계의 중요한 부분중의  하나이다.

중국교육의 지방관리체계는 성, 중심도시, 현, 향 이 각급 지방정부의 교육위원회 또는 기타 교육관리기구를 통하여 실현된다. 성, 시등 두단계 행정부문에 소속되어있는 고등원교가 비교적 많은편인데 재학생은 고등원교 학생총수의 절반이상을 차지한다. 북경, 강서, 사천, 호북, 상해 등 대규모 성, 직할시의 경우 학생수가 백만명에 달한다. 이런 학교의 교사역량, 설비, 비용 등 조건은 모두 중앙의 각부직속 학교보다 못하지만 사회주의 건설에 필요한 인재를 배양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 중국의 교육 내용과 목표

그렇다면 중국에서는 이러한 역사와 전통을 바탕으로 오늘날의 교육을 확립해오고 있는데, 과연 그들이 배우는 것은 어떤 것이며, 무엇을 중시하는 것일까?

초등교육은 전반적인 기초교육이다. 그 중에서도 중국에서 가장 중시하는 초등교육과목은 중국어문으로 수업시간이 전체의 40%를 차지한다. 산술(수학)은 어문다음으로 중시하는 과목으로 총 학시(學時)의 1/4정도 이다. 그외 노동과목은 1.6%, 상식과(사회, 역사, 자연 등  내용이 있음)는 8% 가량 차지하는데 그중에서 자연상식을 가장 중시한다. 도화과(미술)는 총학시의 6.2%를, 음악 및 체육이 각각 7.8%를 차지한다.

중학과정에는 중국어문, 수학,  외국어, 자연과학(물리,  화학, 생물 등), 지리,역사, 음악, 미술, 체육 등 과정이 있다. 덕육(도덕교육)방면에는 정치가 있다. 외국어는 총 학시의 10%정도를 차지한다. 자연과학부분은 여러 가지 내용을 종합하자는 주장과 분리시키자는 주장이 있는데 대체로 점차 분리시키는 추세이다. 세부적으로는  물리, 화학, 생물, 지리 및 생물위생과가 여기에 속한다. 고중 2학년때  문과, 이과로 나누게 되는데 문과는 물리, 화학, 생물 등의 내용을 적게 배우고 이과는 역사, 지리를  적게 배운다. 고중 3학년때에는 문과의 경우 물리, 화학, 생물 등을 배우지 않고 이과는 역사, 지리를 배우지 않는다.

대학의 커리큘럼체계를 보면 대체로 세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즉: 전공중심형 체계(점점 전공이 깊어지는 체계), 일기양차형 체계(한개 기초에서 두가지 방향으로 발전시키는 체계), 기초관후형 체계(기초를 넓고 튼튼하게 닦는 체계)이다. 그밖에 업무상 필요 또는 환경의 변화에 따라 실시하는 고등직업기술단기 교육과정이 있는데 이런 형식은 수요에 따라 과목을 선택하여 자유로운 것이 큰 특징인데 성인교육에 많이 사용한다. 중국의 대학은 전공종심형체계인데 "Ⅰ"형 체계라고도 한다. 이런  체계는 일정한 이론적기초와 전공기초위에서 전공을 깊게 배우게 되며  크게보면 기초이론과, 전공기초,전공 등 3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기초이론과에는 자연과학과 사회과학 기초학과의 지식이 포함되는데 중국 에서 이런 과정의 설치와 체계는 상대적으로 자율성이 적다. 기초이론課는 공공기초課 및 전공과 관련된 기초이론課 두가지로 나누는데 공공기초과에는 마르크스주의 기본원리, 외국어,체육이 있고 전공과 관련된 기초이론과는 문과, 이과, 공과, 농림과, 의과 등 과에 따라 조금씩 다르다. 전공기초과는 본 전공을 이수할때 꼭 배워야 할 전공성을 띤 과학지식과 기능이다.

중등실업학교는 중국 교육체계의 중요한 부분인데 그 과정의 설치와 체계는 주로 학교의 교육목표에 의해 결정된다. 중국의 중등실업학교의 교육목표는: 덕(도덕), 지(지식), 체(신체)가 온전하고 전공의 요구에 적응할 수 있는 기초이론과 전문지식을 가지고 있으며 또 일정한 수준의 기능과 운영방법을 익히고 관리능력을 배양하여 졸업후에 혼자서 일할 수 있는 중급전문인재를 양성하는 것이다. 중등학교의 과정체계는 보통과와 전공과 두개 부분으로 이루어졌는데  보통과는 보통문화과와 체육과 두가지로 다시 나눌 수 있고 전공과는 기술기초과, 전공기초과, 전공기술과,  전공선개과(선택과목)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수업은 과당교육(課堂敎育), 실험과(實驗課), 교외과(校外課) 등이 있다.

 

□ 중국과 우리나라의 교육

이상과 같이 중국의 교육제도를 여러 가지 측면을 통해서 살펴 보았는데, 우리와 비슷한 점도 있지만, 차이점도 많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 중에서 가장 두드러진 것은 직업 교육의 활성화와 기초학문의 중시라는 것이다. 최근 우리나라는 BK21이라는 명분하에 인문학 및 기초학문이 많이 무시되고 인기가 없어지고 있는 추세이고, 기초학문의 기저가 흔들리고 있는 실정인데, 중국의 경우는 우리와는 많이 다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우리 나라는 서울대를 정점으로 한 중앙 우수대학 지방대학이라는 이분법적 생각으로 학력 위주의 인식이 우리들 사회에 만연해 있는데, 그러한 생각은 지금의 서울대를 흔들고 있으며, 국내 최고의 국립대학이라는 서울대에서조차 인문학 및 기초 학문에 대한 위기의 목소리가 붉어져 나오고 있는 실정이니, 문제라 아니 할 수가 없다. 그런 점에서 우리는 중국의 교육을 한 번 살펴 볼 필요가 있는 것이라 여겨진다. 중국은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찬란한 역사와 문화를 가지고 있다. 그런 만큼 현대 교육에 있어서 많은 제약이 따른 것은 사실이지만, 그러한 전통이 있었기에 오늘의 중국을 지탱해 나가고 있는 힘이 아닌가 한다. 우리 나라도 마찬 가지로 오랜 역사와 전통 문화력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오늘날의 우리는 그러한 전통이 한갖 과거의 지나간 역사로 무시하는 것만 같다. 나라를 이끌어 온 유수한 학자들과 그들의 철학 및 의식의 발전이 없었다면 우리의 모습은 상상하기 조차 어려웠을 것이다. 그런 만큼 우리는 기초 학문에대한 집중적인 연구와 투자에 소홀함이 없어야 할 것이다. 물론 이 공계의 응용과학 응용 학문 다들 중요한 학문 분야이고, 소홀히 할 수 없는 것이다. 그러나, 기초공사 없이 지어진 건물은 오래 안 가 무너지기 쉽상이고, 뿌리없는 나무는 오래 가지 못하는 쉬운 진리를 이제는 깨달아야 할 것 같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리학생들에게 보다 좋은 교육 여건을 만들어 주어 창의력있는 생각할 수 있는 수업을 할 수 있도록 많은 지원과 격려를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다. 그것이 새롭게 떠오르고 있는 중국에 맞설 수 있는 길이며, 세계사 속에서 우리가 존재할 수 있는 힘을 키울 수 있는 길일 것이다. 일본이 교과서를 왜곡하는 지는 우리의 역사의식과 투철한 철학의 정신 그리고, 정의에대한 끊임없는 욕구가 있었기 때문에 우리가 따질 수 있는 것이지, 그러한 것이 없다면, 우리는 일본이 교과서를 왜곡하든 왜곡하지 않든 그것은 중요한 문제로 생각하지 않았을 것이다.  

'교육은 백년지 대계'라는 말이 있다. 그만큼 교육은 한 나라의 운명을 결정하는 큰 문제이고, 중요한 가치를 포함하고 있다. 제도권의 꼭두각시를 만드는 것이 교육은 아닌 것이다. 이제는 인간을 생각하고, 인간 본연의 모습으로 돌아가서 인간이 가진 무한한 창의력과 개성을 살려낼 수 있는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우리 모두가 관심을 갖고, 힘써야 할 때이다. '나 혼자 좋은 대학 들어왔으면 그만이지',하고 생각할때는 이미 지났다. 이제는 좋은 대학 나쁜 대학은 없는 것이다. 대학은 대학 그자체인 것이다. 그런 만큼 우리 대학생들도, 사명 의식을 가지고 교정에 한 발짝 한 발짝 내딛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지금이 가장 좋은 시기인 것 같다.

중국은 이제 두려울 것이 없는 것처럼 보인다. 미국에 대응하는 것이다. 세계 각처에서 자국의 목소리를 떳떳하게 내는 것을 보면 우리와는 사뭇 다른 것 같다. 그것은 아마도 교육을 통한 내부적 역량의 발휘라고 생각한다. 물론 각 국가 마다. 교육제도가 있으며 장점과 단점이 공존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우리의 교육 현실이 지금 잘못 흘러 가고 있는 현실을 인식한다면 반성할 여지는 충분히 있는 것이다. 그렇기에 우리는 이웃나라 중국의 모습을 한 번 진지하게 살펴 볼 필요도 있을 것이다. 떠오르고 있는 용(龍) 중국, 그것은 남의 얘기로서만 돌리고 부러워 할 일은 아니다. 이제 부터라도 관심을 갖고 올바른 교육 정책이 입안 될 수 있도록 노력한다면, 우리가 가진 역량 역시 중국 못지 않게 엄청난 힘을 발휘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