王順洪 編, 허선진 옮김, 〈中國的習俗〉, 《中國槪況》, (北京 : 北京大學出版社, 1994. 9), PP.138-153.
중국의 풍속과 음식
王 順 洪 제1절 결혼과 가정
결혼은 가정을 만들어 내고, 가정은 사회를 구성하는 사회를 구성하는 단위이다. 결혼과 가정은 사회의 창구이며, 한 민족의 풍속을 집약적이고 진실하게 보여준다. 그래서 어떤 사람이 외국에 가면 그 나라의 가정을 한 번 보고 싶어하고, 봐야 한다. 이것은 한 민족, 한 지방의 생활 사정, 풍속, 습관을 직접적으로 이해하고 체험하는 좋은 방법인 것이다.
1. 결혼중국의 결혼과 가정은 긴 변화 발전의 과정을 겪었다. 봉건 사회에서는 부모가 정하는 결혼 제도가 행하여졌는데 즉, 「부모의 명령, 중매쟁이의 말솜씨」였다. 다시 말해서 젊은 남녀의 혼인대사는 자기가 결정할 권리 없이 전적으로 부모의 뜻에 따른 것이었다. 부모가 결혼을 결정하면 젊은 남녀는 동의하지 않더라도 어쩔 도리가 없었다. 부모가 동의하지 않는다면 젊은 남녀가 아무리 흡족해 하더라도 성사될 수 없었다. 중국은 일찍이 西周시대에 결혼 절차에 관한 엄격한 규정이 있었다. 漢대에 이르러서는 「六禮」라고 하는 절차가 형성되어 중국 漢민족의 몇 천년 된 결혼 풍속으로 되었다. 「육례」란 무엇인가? 바로 남녀가 혼인 관계를 맺게 되는 여섯 개의 절차이다. 첫 단계는 納采이다. 「납」은 받아들이기를 바라는 것이고, 「채」는 의사를 선택하는 것이니, 납채는 곧 구혼인 것이다. 이 예절은 남자의 집에서 중매인에게 부탁해 선물을 가지고 여자의 집에 구혼하러 가는 것이다. 만약 여자의 집에서 그의 선물을 받지 않으면 거절하는 뜻이다. 두 번째 단계는 問名이다. 납채를 한 이후 남자의 집에서는 초대장을 잘 써서 중매인에게 부탁해 초대장과 선물을 가지고 여자의 집에 가서 여자의 성명, 출생한 년월시각을 써서 돌아와야 한다. 세 번째 단계는 納吉이다. 장가가는 것은 하나의 가정을 이루는 것이기에 남자의 집에서는 써 온 여자의 성명, 출생 년월시각을 가지고 자기 집의 조상 위패 앞에서 점을 쳐야 한다. 결과가 좋든 나쁘든 중매인을 시켜 선물과 함께 여자 집에 알려야 한다. 네 번째 단계는 納征이다. 만약 점 친 결과가 좋으면 남자의 집에서는 곧 귀한 납채 예물을 중매인을 통해서 여자의 집에 보내야 하는데, 드디어 정식으로 결혼을 결정하는 것이다. 다섯 번째 단계는 請期이다. 결혼을 결정한 후, 남자의 집에서는 신부를 맞을 길한 날을 택하고 그 길일을 잘 써서 중매인을 통해서 그것과 선물을 여자의 집에 갖고 간다. 만약 여자의 집에서 남자 집에서 정한 날짜를 받아들이지 않으면 다시 정하여야 한다. 그래서 「청기」는 바로 상대방의 결정을 구하는 것이며, 뜻을 협의하여 신청하는 것이다. 여섯 번째 단계는 親迎이다. 신랑이 친히 중매인과 선물을 가지고 여자의 집에 가야 한다. 우선 신부의 부모에게 인사하고, 신부집 조상의 사당 앞에 선물을 바친 후 신부에게 남자의 집에 가기를 청한다. 신랑은 문 밖에서 신부가 내리고 집으로 들어가기를 기다려야 한다. 이 때에 이르러야 육례가 완전히 끝난 것이고 정말로 장가를 든 셈이다. 육례의 전 과정에서 볼 때, 맨 마지막의 친영을 제외하고는 남녀 당사자는 줄곧 서로를 만나지 못하고 자기가 관여 할 권한도 없이 완전히 부모의 결정과 중매인이 중간에서 빈번하게 드나듦으로써 진행되는 것을 우리는 알 수 있다. 이런 절차로 결혼이 결정되기에 「중매인을 통해 정식으로 배우자를 맞아들인다」라고 말하는 것이다. 그렇지 않고 남녀가 직접 만나서 자유연애를 하면 「풍속을 해친다」, 「옳지 못한 행동」으로 여겨져 자기 가정과 사회의 막대한 압력을 받게 되고 심지어는 엄한 벌을 받기도 한다. 이러한 봉건적인 결혼에서는 남녀 쌍방이 전혀 연애의 바탕도 없이 단지 결혼식날 그 때에야 서로 알 수 있다. 그래서 운명에 따라 정해지는 것이고 「여자가 출가를 해서는 남편을 따라야 하는 것이다.」 중국의 봉건사회에서는 결혼은 부모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만이 아니라 「육례」에 따라 엄격히 진행되어야 한다. 또 신분도 엄해 「남녀 두 집안이 엇비슷할 것 」을 강조한다. 다시 말하면, 지위가 높은 집안에서는 지위가 높은 집안을 구할 것이고, 지위가 낮은 집안에서는 낮은 집안을, 부자인 집에서는 부자인 집을, 가난한 집에서는 가난한 집을 찾을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남녀 집안이 서로 비슷하지 않은 것」인 것이다. 그리하여 많은 젊은 남녀들은 비록 진정으로 사랑하지만, 어울리는 집안이 아니면 가장의 강한 반대를 당하게 되어 좋은 인연과 연결될 수 없을 뿐만이 아니라 인생의 비극을 맞이하게 되고, 봉건 혼인제도의 희생물이 되는 것이다. 그밖에도 사회계급이 불평등한 옛날 중국에서는, 남자와 여자도 불평등하여 여자의 지위는 매우 낮았다. 그래서 매매결혼, 강제결혼, 약탈결혼 등의 현상이 있었다. 권력, 지위, 돈이 있는 남자들은 민간의 여자를 제멋대로 강점하고, 여러 부인을 두고, 첩도 많이 둘 수 있었다. 봉건 시대의 제왕은 「三宮」 「六園」 「七十二嬪妃」를 두었다. 그러면 여자는? 남편을 선택할 자유가 없을 뿐만 아니라 재혼 할 권리도 없어 일단 남편이 죽거나 남편에게서 버림받으면 반드시 평생 과부로 수절해야 하지 다른 사람에게 시집갈 수 없었다. 중국의 봉건 혼인의 잔재는 계속 근현대 사회에도 여전히 존재했다. 그래서 중국은 근대의 혁명에서 결혼의 자유, 남녀 평등,부모가 시키는 결혼과 여성 압박에의 반대, 여성의 해방 쟁취가 계속해서 혁명의 중요한 내용이 되었다. 신중국이 성립된 이후 1950년 4월 13일, 인민정부는 혼인법을 공포했다. 제 1조는 명확하게 규정하고 있다. 「부모가 강제로 시키는 결혼, 남존여비, 여성의 이익을 경시하는 봉건주의 혼인제도를 폐지한다. 남녀 혼인의 자유, 일부일처, 남녀 권리의 평등과 여성과 자녀의 합법적인 권리를 보호하는 신민주주의 혼인제도를 실행한다.」 신중국의 혼인법은 중국에서 몇 천년 동안 지속되어 온 봉건 혼인제도를 철저히 폐지하고 새로운 형태의 혼인과 가정이 법률 보호 하에 세워지기 시작한 것을 상징하고 있다. 1980년 9월, 1950년 혼인법을 기초로 해서 중국은 새로운 혼인법을 공포했다. 한 걸음 더 나아가 원래의 규정을 강조하고 또 적절한 수정과 보충을 하고 혼인 연령을 남자 20세 여자 18세에서 남자 22세 여자20세로 높였다. 혼인자유, 남녀평등이라는 새 원칙 하에서 현대 중국 남녀의 혼인관계는 어떻게 생기기 시작할까? 주로 아래의 몇 가지 방식을 통해서 성립된다. 첫 번째는 직접 알게 되어 자연스럽게 서로 사랑하게 되는 것이다. 동학, 동료 혹은 다른 관계에서 두 사람이 함께 지낼 기회가 많아지고 서로를 비교적 이해하게 되면 자연히 애정이 생겨 연애 기간을 거쳐 「조건이 성숙되면 일은 자연히 이루어진다」고 부부로 되는 것이다. 두 번째는 다른 사람의 소개로 자신이 결정하는 것이다. 원래는 전혀 안면이 없지만, (결혼)상대를 찾아야 할 나이가 되면 친지나 친구, 동료의 소개를 받아 서로가 조건이 맞다고 생각되면 교제하기로 동의한다. 교제를 통해 서로가 만족하면 연인 관계가 되어 결국에는 결혼한다. 물론 때로 만나거나 교제 이후에 맞지 않다고 생각되면 교제를 중단하게 되는 경우도 있는데 이것을 보통 「잘못되었다」라고 한다. 세 번째는 우연히 알게 되어, 한 번 보고 사랑에 빠지는 것이다. 다시 말하자면 사회 생활 속에서 우연히 자기가 좋아하는 사람을 만나 알게 되어 연애를 해서 「좋은 인연」으로 되는 것이다. 중국 사회가 개혁 개방됨에 따라 춤, 음악, 체육, 여행 활동 등이 나날이 증가해 젊은 남녀들에게 서로를 알 수 있는 기회를 더 많이 제공하고, 많은 사람이 사교장소에서 (결혼)상대를 찾을 기회를 가지게 되었다. 네 번째는 사회에 공개 구혼을 하는 것이다. 어떤 사람은 나이 또는 다른 원인들로 위의 세 가지 방식으로 상대를 선택하는 기회가 매우 적다. 그래서, 결혼 소개소 또는 잡지나 방송국에 신청을 해서 사회에 공개 구혼을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廣州의 《家庭》,安徽의 《戀愛·結婚·家庭》 등의 잡지에는 결혼 상대를 구하는 난이 전문적으로 개설되어 있다. 더욱 특별하게도 북경 텔레비전 방송국에는 몇 년 전부터 《오늘 밤 우리 서로 만나요》라는 전문 프로그램을 방영하는데 「텔레비전 중매」라고 불린다. 구혼을 할 때에는 구혼자가 직접 텔레비전 화면에 출연한다. 이러한 공개 구혼의 방식은 많은 남녀들에게 다리를 놓아 좋은 결과를 거두었다. 다섯 번째는 옛 풍속을 따라 부모가 정하는 것이다. 이것은 구사회가 남긴 잔재인데, 일부 경제문화가 낙후된 지역에서 주로 이루어진다. 심지어 어떤 지방에는 매매결혼 등의 현상이 아직도 존재한다. 이상 다섯 가지 방식 중, 가장 보편적인 것은 처음의 두 가지인데, 세 번째 네 번째 방식은 발전하는 중이고, 다섯 번째 방식은 극소수이다. 그러면 현대 중국의 젊은 남녀가 상대를 선택하는 기준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애정 외에 주로 용모, 직업, 학력, 성격, 수입, 가정 등을 고려한다 한다. 남자의 요구는 주로 여자의 용모가 예쁘거나 단정하고, 성격은 부드럽고 자상하고, 키는 자기보다 크면 안되고, 나이는 자기보다 많지 않은 것이다. 여자의 요구는 대개 남자의 직업이 좋을 것, 키가 비교적 클 것, 학벌이 좋을 것, 수입이 많을 것, 생각이 올바를 것, 몸이 건강할 것, 사업 의욕이 강할 것에 관심이 있다.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자기의 조건과 상대방의 조건을 비교하고 자기의 요구에 맞는지 상대방을 따져 본다. 만약 두 젊은 남녀의 여러 조건과 요구가 별 차이가 없으면 연애 결혼의 성공률은 비교적 높다. 예를 들어, 두 사람 모두 대학 졸업자이고 성격은 서로 맞고 용모도 어울리고 가정 환경도 비슷하면, 그들은 일단 연애를 하고 쉽게 결혼을 하는 것이다. 그러나 다른 상황도 있으니 두 사람의 조건이 비록 어느 정도 차이가 나지만 각자 상대방의 요구에 부합할 수 있으면 결혼은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어떤 남자가 인텔리이고, 사업욕도 강하지만, 용모는 보통인데 그는 전혀 여자가 자기와 비슷한 학벌일 것을 요구하지 않고 단지 외모가 괜찮고, 선량하고 부드럽고 요리와 가사 일을 잘하고 남자의 일을 이해할 수 있고 지지할 수 있으면 된다고 한다. 그러면 여자는? 높은 학벌, 좋은 직업, 품행이 단정한 남자 찾기를 원한다. 자기는 비록 예쁘게 생겼지만 남성의 외모에는 신경을 쓰지 않기에 여성의 조건은 남성의 요구와 딱 맞다. 이런 경우 두 사람의 결혼은 쉽게 이루어진다. 물론 노동자, 농민, 인텔리, 군인 등 직업, 신분, 계층이 다른 사람들은 요구하는 조건이 다를 수 있고 구체적인 상황도 매우 복잡하다. 현대 중국에서는 자유연애, 자주적인 혼인이 이루어지기에 젊은 남녀들은 연애와 결혼의 상대를 정할 때 기본적으로 자기의 생각대로 한다. 동시에 일반적으로 부모의 의견을 구하기도 하는데 가장이 동의하지 않으면 「잘못 되는」경우도 있다. 세계적으로 결혼 형식에는 주로 3가지가 있다; 예의결혼, 종교결혼, 법률결혼이다. 고대 중국에서 행해진 예의결혼은 과정이 복잡했다. 오늘날 사회에서는 결혼 과정이 크게 간략해져서 법률적인 수속을 했는가가 중요한 것이 되었다. 즉, 결혼한 남녀 쌍방은 반드시 같이 담당 부서에 가서 결혼 신고를 해야 한다. 결혼증을 받은 이후에야 합법적인 부부가 되는 것이고 그렇지 않으면 합법적이지 않은 것이다. 결혼 증명서를 받은 이후에는 일반적으로 결혼 의식을 거행해야 하는데, 형식은 대개 이러한 몇 가지이다. 첫째, 식당이나 집에서 결혼 축하연을 하는 것이다. 약간의 술상을 차리고 친지, 친구 등을 청해 음식을 먹고 결혼 축하주를 마신다. 축하연에서 간단한 결혼식을 하는 것이다. 신랑 신부는 손님들에게 술을 따르고 담배를 권한다. 모두 신랑 신부에게 술을 권한다. 화기애애하고 아주 떠들썩하다. 결혼 축하연의 과정과 규모는 통일된 규정은 없으나 사회 여론 적으로 절약하고 간략하게 하기를 장려하고, 크게 벌이고 겉치레나 낭비하는 것에 반대한다. 결혼 축하연을 하는 분위기는 보통 노동자, 농민들에게 비교적 강하다. 두 번째, 다과회를 하는 것이다. 결혼 때 결혼 축하연을 열지 않고 단지 친구와 동료들이 함께 모인 자리에서 사탕, 과일, 향불 등을 조금 준비해 간단한 결혼식을 한다. 그런 후에 모두 떠들썩하게 축하한다. 예를 들면, 신랑 신부에게 그들의 연애 이야기를 하게 하고 프로그램을 상연하는 등등. 이 형식은 비교적 간단하고, 형편에 맞춘, 절약 적인 것이다. 보통 기관의 간부와 인텔리 층에서 널리 행해지고 있다. 세 번째, 합동 결혼이다. 단위나 관계 있는 단체 별로 하는데, 몇 쌍 또는 열 몇 쌍, 수십 쌍의 신랑신부가 동시에 결혼식을 한다. 기념품을 돌리고 노래를 부르고 춤을 추고 함께 모여 즐긴다. 이 형식은 간단하고 절약 적이다. 분위기는 정중하고 위엄 있지만, 결성할 수 있는 기회가 비교적 적다. 네 번째, 여행 결혼이다. 신혼부부가 결혼 휴가를 이용해 다른 곳으로 여행을 가는데, 돌아오면 곧 결혼을 한 셈이다. 어떤 이들은 여행 전에 간단한 결혼식을 올리기도 하는데 어떤 이들은 아무런 식도 안올리고 단지 여행에서 돌아온 후 친지나 이웃, 동료들에게 결혼 사탕을 보낸다. 이것은 요 몇 년간 유행하기 시작한 결혼 방식인데 간편하면서 신혼부부들은 휴식과 즐거움을 얻을 수 있다.
2. 가정중국의 가정은 기본적으로 4가지 종류로 나누어진다. (A) 독신 가정으로 한 사람만이 생활한다. (B) 핵가족으로 부부 두 사람과 미혼 자녀가 함께 생활한다. (C) 대가족으로 부부와 미성년자인 자녀 외에도 노인이 있어 삼대 또는 사대가 같이 생활한다. (D) 연합 가정으로 한 대가정에 이대 이상의 사람이 있고, 같은 세대 중 또 두 개 또는 세 개 이상의 소가정이 있어 모두 함께 지내는 것이다. 중국의 가정 규모는 갈수록 작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고대 중국에서는 삼대가 같은 집에 거주하는 대가족이나 여러 세대가 같은 집에 거주하는 연합 가정이 비교적 많았는데 가정이 많아지고 인구가 많아짐에 따라 가족도 번창해졌다. 그래서 지주, 관료 등 부유한 계층에서는 식구가 수십 명 심지어 더 많기도 했다. 후에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봉건전통 방식의 연합가정이 점점 해체되고 핵가족과 대가족이 많아지기 시작했다. 현재 중국은 노인의 경제 생활이 보장되었고 게다가 주택이 좁은 이유 때문에 자녀는 결혼 이후에 보통 부모에게서 분가해 산다. 그래서 절대 다수의 가정은 핵가족, 즉 부부와 아이가 사는 소가정이다. 80년대 초반의 통계에 의하면 3,4인의 소가정은 도시에서는 70.8%, 농촌에서는 60.7%를 차지했다. 또 삼대가 같은 집에서 사는 전통적인 대가족은 도시에서는 단지 20-30%였고 농촌에서는 약간 많았다. 현대 중국 사회는 이미 남존여비의 전통적인 관념을 타파했다. 과거의 여성의 지위는 낮고 남자에게 의존하는 상황을 철저히 변화시켰고 진정한 부녀 해방, 남녀 평등을 실현시켰다. 여성은 남성과 똑같이 동등하게 정치, 경제적 지위를 가지게 되어 「신사회 여성(半邊天)」 이라 불린다. 가정 안에서 가정의 일을 부부 쌍방이 상의해 결정하고 가사 노동은 부부가 공동으로 책임지기에 새로운 형태의 부부관계와 가정 분위기가 형성되었다. 예로, 1982년 북경시의 1차 가정 조사 결과이다.
다시 예를 들면 山東省 여성 연합 성통계국은 1991년 산동의 여성 지위에 대해 한차례 표본 조사를 했다. 조사 대상인 기혼 여성 중 40세 이하인 사람은 자기가 혼인을 결정한 것이 79.88%, 40세 이상의 사람은 67.8% 였다. 그 중 도시 여성의 자유 결혼률은 88.26%, 농촌은 65.01%였다. 가정의 일에 대한 결정은 56.17%의 기혼 여성이 가정의 경제를 부부가 공동으로 결정한다고 했는데 그 중 도시는 62.6%, 농촌은 51%였다. 조사 대상의 56.85%의 여성이 가정에서의 자신의 지위를 「비교적 높다」혹은 「매우 높다」고 있다. 중국 여성의 가정에서의 지위는 실제로는 그녀들의 사회에서의 지위의 축소인 것이다. 중국인은 전통적인 도덕의 영향을 받아 가정관념이 매우 강하다. 특히 부부 애정과 가정의 안정을 중시하고 이혼율이 세계에서 제일 낮아 80년대에는 계속 결혼 숫자의 1% 정도였다. 최근 몇 년 사회의 개혁개방에 따라 사람들의 생각도 변화해서 이혼율이 증가했다. 1990년에는 1.4% 였지만 세계적으로는 여전히 매우 낮은 것이다. 만약 부부 애정이 이미 확실히 틀어져 회복할 길이 없다면 법적으로 이혼 수속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재혼은 청년, 노년의 사람을 막론하고 더 이상 체면을 상하는 일이 아닌 것이다. 중국의 법률 규정에 따르면, 자녀가 커서 결혼을 해 자기의 가정을 만든 이후에는 부모를 부양할 의무가 생긴다. 부모를 부양하는 방식은 주로 두 가지이다. 한 가지는 직접 부양하는 것이다. 즉 부모와 자녀가 함께 지내는 것인데 이것이 전통적인 방식이다. 다른 하나는 간접적으로 부양하는 것이다. 부모가 자녀들과 함께 있지 않고 홀로 생활하지만 생활비는 자녀가 드린다. 지금 중국에서는 도시의 노인들은 거의가 퇴직 노동자여서 주로 생활비는 퇴직금에서 보장받는다. 만약 퇴직금이 적거나 없으면 자녀가 부담하는 생활비에 의존하게 된다. 농촌에서는 이전에는 퇴직 제도가 없었으므로 사회 양로 보험이 생기지 않아 자녀에게 의존하는 경향이 좀 더 강했다. 게다가 농촌의 주택은 비교적 여유가 있어서 부모와 자녀가 같이 생활하는 현상이 도시에 비해 많다. 도시와 농촌을 막론하고, 기혼 자녀와 부모가 따로 거주하든 부모가 경제적으로 자녀에게 의존하지 않든 지간에 중국인의 윤리도덕에 따르면 자녀는 마땅히 부모를 공경해야 하고 늘 찾아 뵙고 돌봐 드려야 한다. 많은 젊은 부부는, 자녀가 대체로 어리다. 그래서 부모가 자녀를 돌봐 주는 것에 의존해야 하기에 부모와의 관계가 더 친밀하다. 그러므로 전체적으로 볼 때, 중국의 부모는 생활적, 정신적으로 안정적이고 자녀와의 관계도 가깝다. 가정에서 여전히 중요한 한가지 문제는 자녀의 성장과 교육에 관한 것이다. 중국은 1980년부터 「한 가정 한 자녀 낳기」 정책을 실시한 이후 독자인 가정이 나날이 늘었다. 부모의 교양 수준이 점차로 높아지고, 아동이 자라는 가정 조건이 점점 좋아졌다. 아이들에 대한 가장의 기대가 비교적 높고 아이들이 어릴 때부터 총명하고, 공부하기 좋아하고, 성적도 잘 받고, 재능이 있고, 순조롭게 초등학교를 마쳐 중등, 고등, 대학교에 들어가서 앞날이 밝은 사람이 되기를 바라는 것은 사회의 보편적인 현상이다. 그래서 자녀의 양육, 교육을 대단히 중시해 아이를 어릴 때부터 유치원과 학교에서의 치열한 경쟁에 참가하게 한다. 도시의 많은 가장들은 아이들에게 유치원과 학교에서 공부를 잘하라고 독촉하는 것 외에도 아이들의 그림, 음악, 체육, 컴퓨터 등 각종 과외 활동을 하거나 가정 교사를 청하는데 돈을 쓴다. 좋은 조건, 엄격한 요구와 교육은 중국 아동의 소질을 크게 발달시켰다. 그렇지만, 새로운 여러 가지 문제들을 출현시켰다. 예를 들자면 자녀를 지나치게 좋아하고, 응석을 받아 주고, 경거망동하게 하고, 자신만을 알게 하고, 괴로움을 잘 견디지 못하고, 절약 정신이 부족 되고, 「어린 황제」로 되는 등등. 요컨대 현대 중국의 결혼과 가정은 이미 예전과는 많이 달라졌다. 과거의 그런 융통성 없고, 자유롭지 못한 봉건적인 결혼과 가정은 이미 자유롭고 행복한 새 형태의 결혼과 가정으로 바뀌었는데, 이것은 사회 진보의 한 측면을 반영한 것이다.
제2절 명절과 국경일
한 국가와 민족마다 모두 자기의 여러 가지 명절이 있다. 그것은 그 국가와 민족의 풍습의 중요한 부분을 이루고, 그 국가와 민족의 특색을 드러내고 있다. 중국은 민족도 많고 명절도 많다. 여기에서는 1년의 시간적 순서에 따라 전국적으로 중요한 명절과 국경일을 소개하겠다. (1) 新年. 元旦이라고도 한다. 양력 1월 1일 이다. 이 날은 새해의 시작이다. 전국이 하루 동안 쉬고, 가까운 일요일에는 이틀을 연달아 쉰다. 신문에서는 보통 새해 사설이나 신년 축사를 발표하고 작년 한 해를 돌아보며 새로운 한 해를 전망한다. 방송국, 극장에서는 새해를 경축하는 문화예술 프로그램을 전문적으로 마련한다. (2) 春節. 음력 1월 1일이다. (양력 1월 하순에서 2월 중순 사이). 歷年이라고도 한다. 이것은 중국 각 민족이 가장 중요시하고 제일 기뻐하는 전통적인 명절이다. 3일 동안 쉴 것을 규정하고 있으나 농촌에서는 많은 날을 쉰다. 중국은 3000여년 전부터 계속 農歷(陰歷, 夏歷, 舊歷 이라고도 한다)을 사용했다. 음력에서는 정월 초하루를 신년이라 한다. 20세기초에 중국은 세계적으로 널리 쓰이는 양력을 채택했는데, 양력 1월 1일을 「신년」이라 하고 음력 정월 초하루를 「춘절」이라 개칭했다. 춘절은 겨울이 장차 물러나고 봄이 곧 올 것을 예시한다. 새봄이 시작되려 할 때 사람들은 천지신과 선조에게 제사를 지내 오곡이 풍성하고 온갖 일이 뜻대로 되기를 빈다. 매년 음력 12월이 되면 춘절의 분위기는 점차 짙어지기 시작한다. 전통적인 풍속에 따라 섣달 초파일에는 「臘八죽」을 먹는다. 납팔죽이란 쌀, 좁쌀, 찹쌀, 수수, 붉은 콩, 대추, 호두속, 땅콩 등을 끓여 만드는데 「풍년이 들다」라는 함의가 있다. 음력 섣달 23일은 조왕신에게 제사지내는 날이다. 부엌 벽의 신상에 맥아당을 올린다. 듣건대 조왕신이 먹고 난 후 하느님에게 보고할 때 이 가정의 주인을 좋게 말해 줘서 행운을 가져온다고 한다. 이것은 중국인이 과거에 늘 말하던 「하늘에 재를 올리면 복을 받는다」인 것이다. 오늘날에는 이런 일종의 미신적인 방법은 사라졌다. 춘절에 농촌에서는 「歲畵」를 붙이고, 깨끗이 청소하고, 집을 장식하는 것을 좋아한다. 「세화」는 다양하여 과거에는 주로 「아기가 잉어를 안다」 「賽龍舟」 같은 것이었다. 지금은 인기 영화 배우 및 풍경화 등이 많아지기 시작했다. 동시에 문 위에 대련, 문신상과 「福」자를 붙이기도 한다. 대련은 붉은 종이에 털붓으로 써서 분위기를 장식하면서 행복한 생활에 대한 희망을 나타낸 것이다. 문신상은 귀신을 쫓는 역할을 한다. 춘절의 전날 밤, 즉 음력 섣달 30일을 「際夕」이라 한다. 온 가족이 모여서 풍성한 저녁인 「年夜飯」을 먹는다. 연야반을 먹은 후에는 온 가족이 둘러앉아 즐거운 얘기를 하거나 오락을 하기도 하는데, 어떤 이들은 밤 내내 자지 않기도 한다. 이것을 「까치설날을 쇠다(守歲)」라고 한다. 텔레비전이 보급 된 이후에 매번 「제석」저녁때 마다 중앙 방송국과 각 성의 방송국에서는 춘절 저녁 프로그램을 방송한다. 춘절 저녁 프로그램은 정성 들여 준비한 것으로 형식, 내용 모두 대단히 훌륭하고 인기 배우들이 총출동하는데 심야까지 계속된다. 전국의 모든 사람들이 거의 다 보는데 매우 재미가 있어 이것이 이미 예전의 「제석」을 대신하게 되었다. 심야 12시가 되면 많은 집에서 폭죽을 시끄럽게 터뜨린다. 마치 대동란이 일어난 것 같은데 묵은해를 작별하고 새해를 맞이하는 것을 상징하고 춘절의 분위기를 최고조에 이르게 한다. 전설에 의하면, 고대인들은 전염병은 산귀신이 퍼뜨린 것이라 믿었다 한다. 그래서 불붙인 대나무로 산귀신을 쫓았는데, 대나무가 열을 받아 쪼개어지면서 소리가 났다. 그래서 「폭죽」이라 하는 것이다. 후에는 유쾌한 기분을 표현하기 위해서 폭죽을 터뜨리게 되었다. 화약이 발명된 이후에 폭죽은 화약제작에 이용되었다. 지금, 폭죽의 종류는 매우 많고 소리를 낼뿐만이 아니라 아름다운 불꽃도 발생시켜 광채가 눈부시다. 매년 연말이 되면 큰 길 도처에서 마다 폭죽을 팔았다. 최근 북경 등의 도시에서는 불로 인한 재난과 환경오염을 막기 위해 이미 폭죽 터뜨리는 것을 금지 시켰다. 초하루 아침에 북방인 들은 집집마다 「餃子」를 먹는데 「更歲交子」라고 한다. 남방인 들은 「年고」,「湯圓」을 먹는데 「해마다 높이 오르다(年年高)」 「온 가족이 모이다(團圓)」를 의미한다. 나중에 친지와 친구를 찾아가 「세배」를 하는데 며칠동안 계속되었다. (3) 元宵節. 음력 정월 보름이다. 「燈節」 이라고도 한다. 이것은 춘절 이후 첫 번째로 달이 둥그렇게 되는 밤이다. 원소절에는 각 지역에서 원소를 먹고 관등놀이를 하는 풍습이 있다. 원소는 찹쌀 가루를 둥근 모양으로 빚어 속에는 설탕으로 만든 엿을 넣는데, 「모이는 것」을 상징한다. 원소절에 색등을 감상하는 것은 서기 1세기 漢 명제때 시작되었다. 이때 이후로 서울과 민간에서는 모두 등을 밝혔는데 「燈會」라고 한다. 7세기 唐대에 이르자 등절의 규모가 더욱 커져 황제가 이 날 밤에는 야간 통행 금지를 취소시켜 사람들은 밤 내내 길에서 꽃 등을 감상할 수 있었다. 근대에 이르러서도 원소절의 관등은 여전히 각 지방에서 성행되고 있다. 원소절 밤이 될 때마다 많은 도시에서는 등회를 열어 여러 가지 색등을 전시해서 여러 신기한 것을 만들어 낸다. 어떤 등회에서는 수수께끼를 색등 위에 걸어 두기도 하는데 맞힌 사람이 우승자가 되어 명절의 정취와 떠들썩한 분위기를 한층 더해 준다. 어떤 지방, 특히 농촌에서는 여전히 다른 오락 활동을 하기도 한다. 불꽃놀이, 죽마놀이 공연, 용등 놀음, 사자 놀음, 앙가에 맞추어 춤을 추는 등. (4) 3.8 부녀절. 양력 3월 8일. 이것은 국제 여성 투쟁 기념일이다. 1908년 3월 8일 미국 시카고의 여성들이 남녀 평등의 권리를 주장하면서 시위를 했다. 이듬해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개최된 2차 국제 사회주의 여성 대회에서는 이 날을 국제 여성의 날로 결정했다. 중국 여성들도 이 날은 쉰다. (5) 청명절. 매년 4월 5일 전후는 성묘를 하는 날이다. 이 날에는 사람들이 대개 친척과 혁명열사의 무덤이나 기념비를 깨끗이 하고 꽃을 바쳐서 애도를 표시한다. (6) 5·1국제 노동절. 양력 5월 1일은 전세계적인 노동자의 명절이다. 1886년 5월 1일 미국 시카고 등의 노동자들은 총동맹 파업을 벌이고 시위 행진을 하였다. 자본가의 잔혹한 착취에 반대하고 8시간 노동의 실행을 요구하며 피흘리는 투쟁을 통해 승리를 거두었던 것이다. 1889년 「제 2차 국제 대회」에서 5월 1일을 국제 노동절로 결정했다. 중국에서는 이날이 전국적인 휴일이다. (7) 5·4청년절. 양력 5월 4일이다. 1919년 중국에서 발생한 시대를 흔든 반제 반봉건적인 의의가 있는 5.4운동은 청년들이 선봉적인 역할을 했다. 청년들을 계승하고 이 빛나는 전통을 발양하기 위해 이날을 청년절로 규정하고 기념 행사를 한다. (8) 단오절. 음력 5월 5일, 양력 6월달. 이 명절은 중국 고대의 위대한 애국시인 屈原을 기리기 위해서라고 전해진다. 굴원은 楚나라의 부패에 반대하고 개혁을 요구했기에 공격과 모함을 당하고, 초왕이 유배시켰다. 기원전 287년, 초나라는 秦나라와의 싸움에서 졌다. 굴원은 매우 슬프고 분개해서 이 해 음력 5월 5일 湖南 멱羅江에서 투신 자살을 했다. 전설에 의하면, 굴원이 죽은 후 강 주변의 백성들은 비통한 심정으로 계속 배를 내어 굴원의 시체를 찾았다. 후에, 매년 이 날이 되면 사람들은 모두 강에 용선을 띄웠다. 굴원에 대한 애도의 표시인 것이다. 오랜 세월이 지나면서 용선을 띄운 것이 민간의 체육 대회 활동으로 변했다. 용선은 모습이 용과 같은 나무 배 인데 대회 때는 많은 용선이 징소리가 나는 가운데 앞으로 나아간다. 그 장면은 매우 장관이다. 단오절에는 종子를 먹는데 이 또한 굴원과 관계가 있다. 전설에 의하면 굴원이 강에 몸을 던진 후 매년 5월 5일이 되면 사람들은 대나무 통에 쌀을 담아 강속으로 던져 그를 제사지냈다고 한다. 후에 어떤 사람이 강변에서 굴원을 만나니, 굴원이 말했다. 「너희들이 나에게 준 음식은 모두 용에게 뺏겼다. 이후에는 쑥잎으로 통을 막고 오색실로 매어라. 용이 가장 무서워하는 것이 바로 이 두 가지이니라.」 이 때 이후로 사람들은 곧 대나무 잎으로 찹쌀을 싸서 종자를 만들어 굴원을 기렸다. 오늘날의 종자는 이미 단오절의 전통 음식이 되었다. 매년 단오절 전후에는 집집마다 종자를 빚고 길에서는 종자를 팔아 신선함을 느끼며 먹기 시작했다. (9) 6·1아동절. 양력 6월 1일. 이것은 전세계 아동의 명절이다. 1949년 국제 민주 여성 연합회가 전세계 아동의 권익을 보호하고 아동에 대한 학대를 반대하기 위해 모스크바에서 열린 회의에서 6월 1일을 국제 아동절로 정했다. 이 날, 중국 전체의 아동은 경축 행사와 오락 활동을 한다. (10) 7·1창당일. 양력 7월 1일. 1921년 7월, 중국 공산당이 상해에서 세워졌다. 1941년 7월 1일을 중국 공산당의 탄생일로 결정했다. 매년 이 날에는 기념활동을 하고 잡지에 기념문을 발표한다. (11) 8·1건군절. 양력 8월 1일이다. 1927년 8월 1일 중국 공산당이 제 1차 국내 혁명 전쟁의 실패를 만회하기 위해 江西 南昌에서 무장 봉기를 일으켰다. 지도자는 周恩來, 朱德, 賀龍, 葉挺 등이었다. 봉기 부대는 이듬해 4월 井岡山에 도착해 毛澤東이 이끄는 농민 봉기 부대와 합해서 중국 노동자 농민 홍군의 제 4군을 조직했다. 이 때부터 중국 공산당은 자신의 독립적인 무장역량을 지니게 되었다. 후에 이 날을 건군절로 정했다. (12) 중추절. 음력 8월 15일. 이 날은 가을의 가운데에 있어서 중추라고 한다. 고증에 의하면, 중국의 고대 제왕은 봄에는 해에게 제사를 지내고 가을에는 달에게 제사 지내는 의식이 있는데 민간에도 점차 달에게 절하고 제사를 지내는 풍습이 형성되었다. 매년 중추절에 사람들은 정제된 과자를 달신에게 제물로 바치고 제사를 드린 후에 모든 집안 사람이 나누어 먹어 전 가족이 함께 모인 즐거움을 나타냈다. 이러한 풍습은 오늘날까지 계속 전해졌다. 月餠은 밀가루, 기름, 설탕과 가공한 과일로 만든 것인데, 형태는 둥글 납작하고 향기롭고 달며 부드럽고 종류도 매우 많다. 현재는 빈번한 명절 선물이 되어 친지와 친구들에게 선물한다. 중추절 저녁은 달이 가장 둥글고 가장 밝은 때이다. 온 가족이 휘영청 밝은 달빛 아래 함께 앉아 월병, 포도, 배, 사과 등을 먹으면서 달빛을 감상하는데 매우 유쾌하다. 만약 자기의 친척, 고향, 조국에서 멀리 떨어져 있다면 이 때 둥글고 밝은 달을 보면 그리움의 정이 저절로 일어난다. 당나라의 시인 李白의 유명한 시가 있다. 「침대 앞의 밝은 달빛은 땅 위의 서리 같구나. 고개를 들어 밝은 달을 보고 고개 숙여 고향을 생각한다.」 바로 이때의 광경을 나타내고 있는데 형상이 생생해 진짜 같고 감정이 진지해 사람을 감동시킨다. (13) 10·1건국기념일. 양력 10월 1일. 중화 인민 공화국이 성립된 날이다. 1949년 10월 1일 중국 공산당의 영도 하에 중국 인민들은 민족의 독립과 해방을 얻었고 중화 인민 공화국의 성립을 선포했다. 중국은 새 역사 단계에 진입한 것이다. 이후로 매년 10월 1일 이 날에는 늘 경축행사를 하고 때로는 천안문 앞에서 열병식 등을 하기도 한다. 전국적으로 이틀을 쉰다. (14) 기타. 이 외에 전국적인 명절에는 植樹節(4월 4일), 敎師節(양력 9월 10일), 重陽節(음력 9월 9일) 등이 있다. 중국에는 많은 소수 민족이 있는데, 전국적인 명절 외에 각 소수 민족들은 모두 자기의 명절이 있다. 비교적 유명한 것에는 廣西 壯族의 歌우節 (음력 3월 3일), 雲南 태族의 潑水節(청명절 이후), 藏族의 藏歷年(3월), 彛族의 火把節(음력 6월 20일 부터 3일), 瑤族의 達努節(음력 5월 29일), 蒙古族의 那達慕大會(8.9월), 回,위구르, 카자흐 민족 등의 古爾邦節 등이 있다. 이상, 중국의 명절은 4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전통명절이다. 몇 천년, 몇 백년 계속되었고 내력도 모두 민간 전설이나 역사 고사에 있고, 일반적으로 귀신, 신, 하늘, 땅과 관계가 있다. 춘절, 청명절, 단오절, 중추절 등이 그것이다. 두 번째는 근현대 명절인데, 중국의 근현대사의 중요한 사건을 기념하고 민중의 혁명정신을 고무시키기 위한 것이다. 5.4청년절, 7.1건당절, 8.1건군절, 10.1건국 기념일 등이다. 세 번째는 국제적 명절인데, 3.8부녀절, 5.1노동절, 6.1아동절 등이다. 네 번째는 각 소수 민족의 명절이다. 이상의 이런 명절은 매번 돌아가며 나타나 각종 기념, 경축, 제례 활동이 계속 이어져 독특한 민족 분위기를 형성하였다.
제3절 음식·술·차
1. 음식중국은 오래된 문화 국가이다. 몇 천년 전부터 높은 수준의 요리 기술을 연구하고 개발했다. 게다가 지역이 넓고 커서 각지의 자연 조건이 뚜렷이 차이가 나고 산물이 풍부하고 각지의 음식 습관도 다르다. 그래서 중국의 음식 종류는 매우 많고 맛이 있어서 세계에 널리 알려져 있다. 중국인의 주식은 쌀과 밀가루 위주이다. 남방인들은 쌀과 쌀가루로 만든 음식, 예를 들어 쌀밥, 설떡 등을 좋아한다. 북방인들은 만두, 밀가루빵, 찐빵, 국수, 교자와 같은 밀가루 음식을 좋아한다. 중국인의 부식은 돼지고기, 생선, 오리고기, 닭고기, 쇠고기, 양고기와 채소, 콩제품 위주이다. 하지만 각 지역의 입맛이 다르기에 만드는 방법과 맛이 주식에 비해 큰 차이가 난다. 「남쪽은 달고, 북쪽은 짜고, 동쪽은 맵고, 서쪽은 시다」란 말이 있다. 즉 남방인은 단 것을 좋아하고 북방인은 짠것을 좋아하고 산동 사람은 굵은 파와 같은 매운 맛을 좋아하며 산동 일대의 사람들은 식초를 좋아한다는 것이다. 중국 사람의 식습관은 하루에 세끼를 먹는 것이다. 「아침에는 잘 먹고, 점심은 배부르게, 저녁은 적게 먹는」 습관이 있다. 중국의 음식 맛은 「4대 계통」으로 나눌 수 있다. 즉 황하 하류의 山東, 장강 상류의 四川, 장강 중하류 및 동남 연해의 江蘇·浙江, 주강 및 남방 연해의 廣東계가 그것이다. 더 자세하게는 「8대 계통」으로 나눌 수 있다. 즉 山東, 湖南, 四川, 福建, 廣東, 江蘇, 浙江, 安徽음식이다. 각 계통마다 많은 유파가 있다. 광동은 廣州, 湖州, 東江 세 개의 유파가 있고, 산동은 濟南, 교東두 유파가 있는 것 등이다. 통계에 의하면 전국 각지의 여러 가지 맛의 식사는 합하면 약 5000여 종이라고 한다. 중국의 「4대 음식계」는 각각 뚜렷한 특색이 있다. 산동의 음식 맛은 비교적 짠 동시에 담백하고 부드럽게 하는 것에 주의를 기울인다. 홍린어는 산동의 명승지인 泰山의 깊은 못에서 나는데 「가루를 묻혀 튀긴 홍린어(乾炸紅鱗魚)」는 산동의 유명한 음식이다. 냄비에 튀길 때에도 고기는 여전히 움직인다. 다 튀긴 후에는 색이 노르스름해지고 맛도 신선하다. 이 외에 「새콤달콤하게 한 황하잉어(糖醋黃河鯉魚)」 德州의 「뼈 없는 삶은 닭(脫骨배鷄)」, 靑島등 연해도시의 「튀긴 소라(油爆海羅)」, 「굴튀김(炸蠣黃)」등은 매우 유명하다. 산동의 湯은 매우 특색 있다. 맑은 탕을 이용한 「제비집 맑은 국(淸湯燕窩菜)」, 포타르와 제남 특산물인 창포, 교백 등으로 만든 탕은 색, 향, 신선한 맛이 있어 잔칫상에서 큰 환영을 받는다. 사천 음식의 특징은 산초 맛이 짙다는 것이다. 사천은 기후가 눅눅해서 옛날부터 음식을 만들 때는 고추와 생강은 없어서는 안되었다. 「돼지고기 마늘 소스 볶음(魚香肉絲)」, 「닭고기 붉은 고추 볶음(宮保鷄丁)」, 「붕어조림(乾燒즉魚)」, 「흰 참나무 버섯 맑은 국(淸湯銀魚)」 는 각자의 맛이 있으나 모두 공통된 매운 맛을 가지고 있다. 지극히 보통의 두부로 「잘게 다진 두부(肉末豆腐)」 「마파두부(麻婆豆腐)」등 여러 가지의 맵지만 맛있는 음식을 만들 수 있다. 특히 「마파두부」는 아주 유명하다. 아주 오래 전에 성이 陳인 여자가 만든 것으로, 먹으면 정말 얼얼하고 뜨겁고 바삭바삭하고 연한 특이한 맛이 나는데, 겨울철에 먹기에 가장 좋다. 강소, 절강음식은 삶기, 끓이기, 고우기, 굽기의 방법이 특징인데 조미는 적게 해서 원래의 맛을 강조하고 농담이 적합하고 단 맛이 좀 많다. 강소의 유명한 음식에는 「압색어시(鴨色魚翅) 」삶은 돼지 머리(배燒整猪頭) 「수창효육(水晶肴肉)」 「준치찜(淸蒸시魚)」 「서호초어(西湖醋魚)」 등이 있다. 광동 음식은 졸이기, 튀기기, 볶아 끓이기, 끓이기가 위주인데 신선함, 연함, 개운함, 미끄러움을 강조한다. 닭에서 곤충, 뱀, 사자 등 야생동물에 이르기까지 모두 요리의 재료가 된다. 광동에서 가장 유명한 것은 뱀고기인데, 이미 2000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특히 「뱀고양이 고기(龍虎頭)」가 중국 밖에까지 명성이 있다. 그것의 주재료는 세 가지의 독사와 오소리인데 20여종의 재료를 섞어 수십 차례의 제조 과정을 통해 완성된다. 야생 고기 음식 중에서 최고급 요리이고 정말로 영양가도 많다. 이상의 「4대 음식계」 외에 북경에도 유명한 요리가 많다. 제일 유명한 것은 「북경오리구이」로, 明대에 시작해 이미 600여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현재 북경의 신용 있는 북경오리구이 가게인 「전취덕 오리구이 가게(全聚德 고鴨店)」 는 1864년에 창업했다. 창업자는 楊全仁으로 그의 아들 때에는 전국적으로 유명한 오리구이 가게가 되었다. 북경오리구이는 특별한 재료(북경오리), 연료(대추나무), 조미료와 특별한 방법으로 조리했고 먹는 법도 특이해 또 다른 맛이 있다. 북경의 궁중 음식도 유명하다. 그것은 예전에 황제 등이 먹도록 제공한 음식으로 기술이 정밀하고 재료도 귀한 것 이어서 곰발바닥, 제비집, 사슴고기, 오리물갈퀴, 해삼 등 산해진미들이다. 옛날에 황제에게 바치는 음식을 준비한 곳을 「御膳房」이라 했다. 현재의 북경에는 궁정 음식점이 두 군데 있는데 하나는 北海의 「방선(倣膳)음식점」 , 다른 하나는 이和圓의 「聽麗館」이다. 북경에는 또 「澱羊肉」이 있는데 「火鍋」라고도 한다. 얇게 썬 양고기 조각을 물이 부글부글 끓는 신선로 안에서 따끈따끈하게 해 놓은 후 양념에 찍어 먹는 것인데 색다른 맛이 있고 겨울에 먹기에 적합하다. 요컨대 중국에는 유명한 맛있는 음식이 매우 많다. 어떤 음식 계통이든, 어떤 종류이든 모두 4가지에 신경을 쓴다. 색, 향, 맛, 형. 이 몇 가지에서 높은 수준에 이르고, 변화를 거듭하는가는 다음의 다섯 가지 요소에 의해 주로 결정이 된다. 첫째는 재료의 선택이고, 둘째는 칼질을 하는 방법이다. 중국 음식의 방법과 먹는 법은 마치 예술전서(藝述全書)와 같아, 사람들의 식욕을 만족시킬 뿐 아니라 중국 문화를 구성하는 하나 성분이기도 하다. 물론 중국인들은 평소에도 음식을 먹지만, 위에서 말한 것처럼 그렇게 먹지는 못한다. 하지만 기본 특징은 일치한다. 중국 사람들은 집에 손님을 초대하길 좋아하는데, 손님에 대한 친절을 표시하는 것 외에도 손님에게 주인이 손수 만든 중국 음식을 시식하게 하는 멋도 있다.
2. 술과 차중국 사람은 몇 천년 이전에 술과 차를 마시는 습관이 있었고, 뿐만 아니라 높은 수준의 술을 빚고 차를 만드는 기술이 있었다. 오늘날, 술과 차는 중국인의 생활에서 여전히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중국은 夏나라 때부터 차를 만들기 시작했다. 역대의 왕후장상, 영웅호걸, 문인은 거의가 술 마시기를 좋아했다. 술은 옛날 사람의 물질 생활, 정신 생활, 사회 교제에서 중요한 작용을 하였다. 성어로 말해 보자면, 「술」이란 글자가 특히 많다. 「술기운에 시를 짓다(借酒賦時)」 「술을 빌어 마음을 트다(借酒抒懷)」 「술을 빌어 근심을 없애다(以酒助興)」 「술로 대담해 지다(以酒壯膽)」 「술로 환송해 첫출발을 장대하게 하다(以酒壯行)」..... 「李白이 술로 시 백 편을 짓다」는 시구는 당대의 시인인 李白이 술을 한잔 마시면 시흥이 크게 일어 입을 열면 시 한편이 되어 술을 많이 마실수록 지은 시도 많아졌다는 뜻이다. 당대의 또 다른 시인인 杜牧도 시 한 수가 있다. 「주막이 어느 곳인가를 물으니, 목동이 멀리 살구꽃 마을을 가리키네」 술집이 많아 묻자 마자 곧 찾을 수 있음을 나타낸다. 이로부터 고대 중국에서 술을 마시는 것이 얼마나 성행했는가를 알 수 있다. 지금은 음료의 종류가 많아졌고 중국인이 정신을 조절하는 방식도 더욱 다양해졌지만 술을 마시는 것은 여전히 널리 행해지고 있는데 특히 명절 휴일 및 친구와 만난 경우에는 술을 빼놓을 수가 없다. 중국의 전통술에서 중요한 것으로는 白酒가 있다. 술이 강해 보통 5·60도 여서 술을 먹을 줄 아는 사람이면 백주 마시기를 좋아한다. 백주외에 黃酒, 포도주와 외국에서 온 맥주 등이 있다. 중국 술의 종류는 수백 가지인데 보통 「8대 명주」 「18대 명주」라고 한다. 주로 茅台酒, 五粮液, 汾酒, 竹葉靑, 濠州大曲, 古井, 紹興酒, 중국 포도주, 靑島 오성맥주 등을 말하는 것이다. 최근 몇 년 사이에 맥주 마시는 것을 즐기는 사람이 많아졌다. 특히 여름에 얼음을 넣은 맥주는 매우 환영을 받는다. 하지만 정식으로 손님을 초대하거나 잔치를 할 때에는 아직도 「백주」가 있어야 하고 포도주와 맥주도 있어야 한다. 중국인들은 술을 마실 때 서로 열심히 술을 권하는데 언제나 「乾杯」라고 한다. 주량도 적고 특히 백주 마시는 것에 익숙지 않은 외국인에게는 맞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강요할 것까지는 없는데 「건배」는 상징적일 수는 있어도 정말로 다 마셔 버리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중국 사람이 술을 마실 때 늘 「건배」라고 외치지만 많이 먹어 술에 취하지는 않는다. 만약 술에 취하면 추태를 부리게 되어 사람들의 웃음거리가 될 수도 있다. 중국 사람들은 술을 취하도록 마시는 사람을 술꾼이라 하고, 늘 마시는 사람은 「酒鬼」라고 한다. 중국 여성들은 일반적으로 술을, 특히 백주는 먹지 않는다. 마신다고 해도 포도주나 맥주를 약간 마실 뿐이다. 여성이 늘 술을 마시면 여자가 담배를 피우는 것과 마찬가지로 사람들에게 안 좋게 보일 수도 있다. 중국인들이 가장 떠들썩하게 술을 마실 때는 결혼 축하연에서 「축하주」를 마실 경우이다. 신랑신부가 술을 따르고 모두 서로 술을 권하고 마음껏 흥겹게 술을 마시는데 술에 취하는 사람도 종종 있다. 중국 사람이 평소 밥을 먹을 때는 술을 먹는 것은 일반적이지 않다. 술을 마시려면 특별히 음식을 준비해야 하고 언제나 술을 마시면서 얘기도 하기에 시간이 들기 때문이다. 중국의 현재 상황으로 볼 때 백주를 마시는 사람은 점차 감소하고 있고 맥주를 먹는 사람은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백주는 강하기 때문에 비교적 강한 적응성을 필요로 한다. 맥주의 도수는 낮아서 보통 사람들도 마실 수 있어 음료의 작용을 한다. 그래서 최근 몇 년 사이 중국의 맥주 생산이 급속히 늘어나 이미 세계적으로 맥주를 많이 생산하는 나라가 되었다. 차에 대해 말하자면, 중국 사람에게는 술을 마시는 것 보다 더 보편적이다. 중국은 세계 제일의 차 생산국이고 일본과 동남아 및 세계 다른 지역에도 전해 주었다. 그래서 중국은 「차의 고향」이라 불린다. 서기 780년, 당나라의 陸羽가 쓴 《茶經》은 세계 최초로 차에 대해 전문적으로 적은 책이다. 차는 4가지 작용을 한다. 첫째는 갈증을 푸는 음료인 것이다. 둘째는 위장의 소화를 도와주는 작용, 셋째는 손님 접대, 넷째는 선물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중국인은 보통 식사 후나 얘기를 할 때 차를 마시는데, 뜨거운 차를 마시며 차가운 차는 잘 안 마신다. 한 모금 한 모금 마시면서 얘기한다. 중국은 땅이 넓고 사람이 많고 지역 별로 차이가 많다. 차의 종류가 100여 종에 이르고 각 지방 사람들이 마시는 차의 종류와 습관도 많이 다르다. 차는 대체로 크게 화차, 녹차, 홍차, 오룡차, 덩어리차 다섯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차의 주요 산지는 浙江, 江蘇, 安徽, 河南, 福建, 貴州, 雲南등이다. 일반적으로 말하는 10대 명차는 杭州의 龍井茶, 太湖 洞庭山의 碧록春, 민南의 鐵觀音, 안휘 黃山의 黃山毛峰, 복건 武夷山의 武夷巖茶, 안휘 祁門의 祁門紅茶, 河南의 信陽毛尖, 귀주의 都習毛尖, 안휘 六安의 六安瓜片이다. 차 마시는 습관을 보자면, 북방인은 화차, 특히 쟈스민차를 즐긴다. 江浙, 上海인은 녹차, 특히 용정, 벽록춘, 모봉을 좋아한다. 광주인은 홍차, 특히 기문홍차를 좋아한다. 어떤 지방에서는 차를 가루로 내어 소금을 넣어 짠 차를 마시기도 한다. 內蒙古, 西北지역에는 전茶를 좋아해 사발로 마신다. 사천, 귀주, 운남 등의 고산 지역에서는 채소가 적어 차를 마시는 것으로 채소를 대신한다. 거의 모든 집에 차를 달이는 그릇이 있고 매일 적어도 차를 세 번은 마신다. 그들에게는 「아침에 차를 마시면 온종일 위풍이 있다. 오후의 차는 일을 수월하게 한다. 저녁의 차는 피로를 없애고 정신이 들게 한다.」는 속담이 있다. 西南, 重慶, 成都, 貴州 등과 같은 서남 지역에서는 곳곳마다 노점 찻집이 있다. 사람들은 대나무 의자에 앉아 차를 마시고 담배를 피우며 유유자적한다. 복건의 鐵觀音 등의 烏龍茶는 꽃향기가 짙을 뿐 아니라 체중을 줄여 줄 수 있다고 해서 외국인들의 사랑을 받아 국제 시장에서 인기 상품이 되었다. 중국인이 외국인과 교제를 할 때는 종종 오룡차와 다른 명차들을 중국 특산품으로 친구에게 선물한다. 중국인은 차 마시기를 좋아할 뿐 아니라 다기(茶具)도 좋아한다. 많은 가정에서 예쁜 다기를 집에서 제일 눈에 잘 띄는 곳에 놓는데 일종의 장식품인 것이다. 친구가 결혼을 할 때는 늘 다기를 한 세트 골라 신혼부부에게 선물한다. 어떨 때에는 외국 친국에게 보내기도 한다. 중국의 다기는 보통 주전자 1개, 찻잔 4개와 차쟁반 1개가 한 세트가 된다. 江西 景德의 도자기, 河北 邯鄲 磁州오의 도기, 강소성 宜興의 옹기는 다기로 제일 유명해 중국 내외의 큰사랑을 받는다. 외국에서는 커피 마시는 것이 보편적이지만 중국에서는 아직 일상화되지 않았다. 그러나 최근 십 수년간 중국에 오는 외국인들이 급속히 늘어나고 외국으로 가는 중국인들도 많아졌다. 그들은 중국에 외국의 음식 문화 제도를 가져와 커피를 즐겨 마시는, 서양 음식을 먹는 중국인이 조금씩 많아지기 시작했다. 이것은 세계 여러 국가, 여러 민족의 음식 습관이 각각 특징이 있고 서로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말해 준다. 음식 문화는 세계 문화의 일부가 되었고 마땅히 비교 연구를 해야 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