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ctId=thesis,fnctNo=332
학교 교육과정과 연계한 지역맞춤 공유학교 운영 방안: 용인형 공유학교를 중심으로
- 작성자
- 이수지
- 저자
- 조윤정 외
- 발행사항
- 발행일
- 2023.12.
- 저널명
- 경기도교육연구원
- 국문초록
- 본 연구에서는 학교 밖 학습터로서의 용인형 공유학교와 학교 교육과정 연계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삼았다. 학교 교육과정의 범위로서 교육과정 편성, 운영, 평가와 관련한 쟁점들이 용인형 공유학교에서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살펴보고, 관련된 교육법 및 국가교육과정 지침의 테두리 안에서 공유학교의 학습경험을 유의미하게 인정할 수 있기 위한 보다 더 효과적인 운영방안을 탐색해보았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학교와 지역사회 연계의 필요성 및 유형에 관한 일반적 논의를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으며, 그중에서도 이 연구가 보다 초점을 두고 있는 용인형 공유학교는 학교 교육과정과 지역사회 연계를 도모하려고 한다는 점에서 학교 교육과정 중심의 지역사회 연계 관련 교육법적 논의와 2022 개정 국가교육과정의 지침들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학교 교육과정과 연계한 지역맞춤 공유학교의 운영방안에 대해 도출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교육과 지역사회의 연계는 학생들의 학습경험을 심화하고 확장한다는 점에서 필요하다. 양자 간의 연계는 세계적 맥락 뿐아니라 한국적인 맥락에서도 지속되는 중요한 교육적 흐름이다. 특히 경기도에서는 공유학교를 중심으로 학교 밖 교육활동과 학교 교육과정과의 연계 수준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학교와 지역사회 간의 연계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공동의 목적과 장기적인 비전을 공유하는 것이 중요하며, 연계 주체 간 수평적 관계 형성이 중요하다. 따라서 용인형 공유학교가 학교 교육과정과의 연계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지역체험처와 수평적 관계를 형성하고, 공유학교 운영을 통해 이루고자 하는 공동의 목적과 장기적 비전을 확립한 후 이를 공유할 필요가 있다.
둘째, 지역맞춤 공유학교로서 용인형 공유학교는 학교와 지역사회 연계의 목적이라고 할 수 있는 공공성, 앎과 삶이 일체화된 학습, 시민성, 유연성을 추구하는 기반 위에서 실행되어야 하며, 그 연계의 과정은 학교와 지역사회 각 주체가 협력적으로 상호 성장을 지원할 수 있는 형태여야 한다. 학교가 지역사회 자원을 활용하기만 하는 것을 넘어서서 지역사회가 좀 더 다양하게 학교 교육과정 안에 참여할 수 있도록 유연해질 수 있는 제도적?법적 장치가 같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 영문초록
- 일반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