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통기본
교육연구방법(Methods in Educational Research)
교육학의 일반적인 연구방법론을 다루며 가설설정, 연구문제 탐색, 문헌고찰, 연구설계 등에 관한 일반적, 실증적 연구를 중심으로 방법론을 다룬다.
교수학습이론(Theories of Learning and Instruction)
학교수업방법의 개선을 위해서 필요한 수업이론과 원리에 관한 이해와 이를 통한 수업기반의 이해를 증진시킨다.
교육사회문화(Education, Society and Culture)
교육에 대한 질적 연구방법을 소개하고 문화기술지적 연구방법이 갖고 있는 특성을 이해하고 그 구체적인 개념과 절차를 알아보고자 한다.
교육혁신이론(Educational Innovation Theory)
교육혁신의 개념, 과정, 내용, 방법, 국내외 혁신 사례 등을 체계적으로 검토함으로써 교육혁신에 대한 이론적 기초를 함양한다.
사회철학과교육(Social Philosophy and Education)
현대사회의 성격과 교육의 철학적 문제를 역사적,사회적 변화구조의 맥락 속에서 체제적으로 검토한다.
교육과정연구(Introductory Course to Curriculum)
교육과정의 개념, 역사, 이론, 연구방법 등을 개론적인 수준에서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교육사조론(Movements of Thoughts in Education)
서양 교육철학의 여러 사조와 그에 따른 비판점 및 시대의 조류에 따른 다양한 형성 배경을 다룬다.
교육심리연구(Studies in Educational Psychology)
학습에 대한 기본개념, 원리, 이론을 학습하여 제반 교육연구 및 교육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 한다.
교육사 및 교육철학 전공
교육사상가연구(Studies in the Educational Philosophers)
교육사상가연구(Studies in the Educational Philosophers)
교육사상가연구(Studies in the Educational Philosophers)
교육사상가연구(Studies in the Educational Philosophers)
교육사상가연구(Studies in the Educational Philosophers)
교육사상가연구(Studies in the Educational Philosophers)
교육사상가연구(Studies in the Educational Philosophers)
교육사상가연구(Studies in the Educational Philosophers)
교육사상가연구(Studies in the Educational Philosophers)
교육사상가들의 생애, 사상, 공헌 등을 연구하고, 현대적 입장에서 재조명한다.
교육사연구방법론(Methodology in Educational History)
교육제도사, 교육사상사, 인물사 등의 연구방법론을 탐구한다.
교육사연습(Seminar in History of Education)
교육사 연구의 제반 이론 및 방법, 과제 등을 탐구한다.
교육사특강(Seminar in Educational History)
교육사 연구에 있어서 중요사안에 대해 집중 연구한다.
교육원전연구(Studies in Classics on Education)
동,서양 교육고전들을 원문강독으로 연구함으로써 원문해득력을 기른다.
도가교육사상연구(Studies in Taoist Educational Thoughts)
노장 교육사상과 역사적 변천과정에 대해 집중 탐구한다.
동양교육사연구(Studies in Oriental History of Education)
동양 여러 나라의 교육문화와 교육사를 연구한다.
불교교육사상연구(Studies in Buddhist Educational Thoughts)
중국 및 한국의 불교 교육사상과 그 역사적 변천과정에 대해 집중 탐구한다.
비교교육사(Comparative History of Education)
비교교육학의 기본적 틀과 방법론, 과제론을 정리하고 비판론적인 관점에서 교육문제의 체계화, 비교, 비평의 안목을 확대시키며 훈련시킨다.
유가교육사상연구(Studies in Confucianist Educational Thoughts)
중국 및 한국의 유가 교육사상과 그 역사적 변천 과정에 대해 집중 탐구한다.
조선시대교육사연구(Studies in Chosun Dynasty on Education)
조선시대 교육의 개관, 사상, 제도, 실제를 개관하고, 기존 연구물을 섭렵하여 조선시대 정치, 경제, 사회, 문화와의 교육과의 연계성을 구명하여 조선시대 교육의 이상과 특성 그 가능성과 한계성을 분석, 조선시대 교육의 체계적 본질 성격 규정 및 정의에 접근토록 한다.
국제교육전문가윤리(Global Expert Ethics in Educational Innovation)
교육 장면에서 발생하는 윤리적 쟁점을 검토한다. 미래의 국제교육 전문가들은 교육현장에서의 윤리적 쟁점을 자신의 시각으로 뿐만 아니라 타인의 시각으로도 인지하고 평가하도록 교육 받는다. 수강생은 윤리적 쟁점이 내포된 교육문제들을 구체적 사례를 통해 논의하게 된다.
한국교육사연구(Studies in Korean History of Education)
한국교육사 모든 영역에 걸쳐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시대별, 국가별로 교육사상 중심으로 고찰하고 연구하면서 앞으로 우리의 교육사상에 대한 방향과 좌표를 설정하고 발전시킬 대안을 발견하는 데 목적을 둔다.
한국현대교육사연구(Studies in Korean Modern Education)
한국 현대교육의 이념과 정책의 역사적 전개과정을 연구한다.
교육혁신사연구(History of Education Innovation)
동, 서양의 다양한 교육혁신사례연구를 통하여 교육혁신의 이론적 기반을 정립한다.
현대교육철학(Current Philosophy of Education)
교육이론과 실제의 역사사회적 전개양태를 국가와 사회의 역동적 상호작용 사이에 위치시켜 비판적 분석과 이해를 시도한다.
교육개혁의 철학적 이해(Philosophical Perspective on Educational Reform)
최근의 교육개혁을 철학적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미래의 교육전문가들이 교육개혁과 사회 변화의 밀접한 관계를 이해할 수 있도록 그리고 교육개혁 이념과 실천 사이의 관계를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교육의원리연구(Studies in Educational Principles)
교육의 본질과 원리에 대해 교육철학적 관점에서 연구한다.
교육철학고전연구(Studies in Classics of Educational Philosophy)
교육철학사에 있어서 주요 고전에 대해 연구한다.
교육철학특강(Seminar in Educational Philosophy)
교육철학의 주요 논점에 대해 집중 연구한다.
서양교육사연구(Studies in Western History of Education)
소크라테스 이후의 서양철학을 체계적으로 검토하고 서로 상반되는 철학적 이론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며 서양의 교육사상을 탐구한다.
학교교육과철학(School and Philosophy)
학교교육과 관련된 제반 철학적 문제를 연구한다.
한국교육철학연구(Seminar in Korean Philosophy of Education)
우리나라의 고유한 교육철학과 사조 등에 대해 연구한다.
교육의언어와논리(Language and Logic of Education)
20세기의 분석철학을 중심으로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언어를 중심으로 언어의 화법 및 사용용도 등을 통해서 사람들의 심리 및 철학적인 사고들을 고찰한다.
교육사및교육철학인턴십(Internship in History and Philosophy Education)
국내외 국제교육협력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기관이나 단체의 한 가지 사업에 인턴학생으로 참여하여 실제 업무능력을 배양한다.
비교교육철학(Comparative Educatial Philosophy)
교육철학사의 주요 문제를 비교교육학의 관점에서 연구한다.
환경과교육(Environment and Education)
시청각자료, 참여관찰, 토론 등의 방법을 통하여 환경과 교육의 관계에 대한 사회/역사적 분석을 시도한다.
환경교육론(Environmental Education)
환경교육의 이론과 실제를 연구, 탐구, 체험한다.
논문연구(Reading and Research)
실제적인 연구의 수행 및 학위논문과 연구논문의 작성 능력을 기르기 위하여 연구에 필요한 지식, 기능, 태도 등을 습득시킨다.
교육과정 및 교육방법 전공(Curriculum and Education method)
교육과정개발론(Curriculum Development Process)
교육과정개발의 개념, 원리, 방법 등을 익히고, 개발된 교육과정을 분석하는 능력을 기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교육과정세미나(Seminar: Inquiry in Curriculum)
교육과정 분야의 연구물을 분석하고 종합하는 능력을 기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교육과정철학(Philosophical Foundation to Curriculum)
인식론, 존재론, 미학, 가치론 등의 교육과정 이론에 대한 철학적 기초를 파악하는 능력을 기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대학교육과정(Higher Education Curriculum)
고등교육 교육과정의 개념, 역사, 이론, 연구방법 등을 이해하고, 쟁점을 파악하는 능력을 기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교육과정개혁사례연구(Case Studies on the Curriculum Reform)
본 강좌는 교육과정개혁 사례를 수집·분석하여, 구체적 상황에서 적절히 적용할 수 있는 전문적 자질을 함양하는데 초점을 둔다. 교육과정개혁 동향, 교육과정개혁의 공과, 교육과정개혁의 역학 이해 등에 대한 내용을 다룬다.
교육과정사회학(Sociology of Curriculum)
본 강좌는 교육내용을 사회학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논의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교육과정의 형식과 내용에 대한 사회적 조건, 이 분야의 주요 이론과 방법론 연구, 비판적 교육과정 논의 등을 통하여 초·중등 교육의 이해를 심화시킨다.
교육과정의역사(History of Curriculum Thought)
우리나라와 서양 여러 국가의 교육과정 역사를 해당 문화와 제도 속에서 파악하는 능력을 기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교육과정행정(Administration of Curriculum)
교육과정행정은 교육의 내적 조건을 정비, 조성, 지원하는 행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는 분야에 속한다. 교육과정과 관련된 법적 규정과 그 집행 작용에 대한 논의를 통하여 교육에서 통제와 자율의 관계를 이해한다.
국제교육의이해(Foundations of International Educational Cooperation)
국제교육전문가가 되기 위해서 필요한 국제교육에 관한 기본개념과 원리 및 절차들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국제교육협력사업 및 관련 기관들의 역사와 특성에 대해 이해한다.
국제교육혁신컨설팅(Consulting for International educational reform)
개발도상국의 국제교육혁신사례들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EDCF와 ODA 및 다양한 국제기금들을 활용한 사업의 기획 및 컨설팅에 필요한 기본 능력을 배양한다.
국제교육협력과교육공학(International Cooperation in Education & Educational technology)
최신 교육공학을 이용하여 국제교육협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토대로 다양한 개발도상국 및 선진국의 사례들을 분석하고 한 케이스에 대해 제안서를 작성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인공지능형블랜디드러닝기획론(Planning for Artificial Intelligence Blended Learning)
블랜디드러닝의 기획과 개발, 그리고 운영을 할 수 있는 기본적인 능력을 기르는 것이 이 과정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본 과정은 블랜디드러닝의 개념과 원리 그리고 실제 사례를 바탕으로 한 실습으로 구성된다.
교육공학이론과개발연구방법론(Theories of Educational Technology & Developmental Research Methodology)
교육공학의 개념과 원리를 이해하고 최근 이들 이론들의 변화 경향과 실제 적용의 범위 및 문제점 등을 논할 수 있는 지식을 기르고 나아가 이의 적용을 통해 교육의 제반 문제에 대해 개선방향을 찾으려는 태도를 기른다. 종래의 기술적 연구(descriptive research)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처방적인 연구를 지향하기 위한 기초를 다진다. 개발연구방법의 가치, 목적, 다양한 질적 연구 방법들에 대하여 알아본다. 구체적으로는 Focus Group Interview, Action research, Usability testing에 대하여 공부한다.
교육혁신프로그램개발론(Educational Program Development)
교육프로그램의 개념, 특징, 종류에 대하여 알아본다. 시뮬레이션 상황에서, 교육프로그램의 설계, 운영, 평가 방법을 실습한다. 프로그램 사례분석을 통하여 각 프로그램에 내재된 가치(목적), 방법 및 절차, 운영 및 평가기법에 대하여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교육측정연구(Studies in Educational Measurement)
교육측정이론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교육실제에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고전적 이론과 문항반응이론을 심도 있게 다룬다.
교육평가연구(Studies in Educational Evaluation)
교육평가의 기초 및 최근 이론을 소개하여 교육평가의 개념, 과정을 이해하고 이를 교육현장에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도록 하면서 특히 수행평가에 초점을 두는 것이 본 강좌의 교수목표이다.
다변량자료분석(Multivariate Data Analysis)
사회/행동과학분야에서 다양하고 복잡한 현상들을 설명하고 예측하기 위한 통계적 도구로서 각광받고 있는 다변량자료분석에 대한 지식과 활용능력을 기른다.
프로그램평가론(Program Evaluation)
프로그램평가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습득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따라서 통합적이고 종합적인 평가활동을 실행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고자 한다.
교육평가혁신사례연구(Studies in Educational Evaluation Innovation)
교육평가의 기초 및 최근 이론을 소개하여 교육평가의 개념, 과정을 이해하고 이를 교육현장에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도록 하면서 특히 수행평가에 초점을 두는 것이 본 강좌의 교수목표이다.
원격교육활용론(Utilization of Distance Education)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 어떻게 원격교육매체를 활용해야 할 것인가를 주로 다루고 있다. 구체적인 내용으로는 원격교육의 개념, 원격교육 체제, 원격교육의 형태 및 유형 등 기본적인 부분들을 바탕으로 다양한 원격교육매체의 유형과 특성, 교수 학습 활용방안, 그리고 평가와 지원에 대한 이론과 실제로 구성된다.
인적자원개발론(Human Resource Development)
교육을 보다 거시적이며 장기적인 안목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인적자원개발에 관한 이론을 학습한다. 수행공학, 조직학습, 지식경영적 안목을 넓혀 교육조직의 혁신과 개선을 위한 관점을 키운다.
국제적블렌디드교육(International Blended Education)
국제혁신전문가의 핵심 능력 중 하나는 국제조직의 교육문제를 진단하고 이에 따른 중재요인들을 찾아 실행함으로써 국제적 교육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국제조직의 특징과 문화를 이해하고 그에 따른 조직의 수행문제를 보다 과학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수행공학은 조직의 수행문제를 체계적으로 진단하고 이를 기초로 하여 수행문제 해결을 위한 전략을 처방하는 과정적이고 실천적인 지식을 다루고 있다. 이 과목에서는 수행공학이론에 기초하여 국제조직의 수행문제를 진단하고 처방하는 실천적 지식의 습득을 위해 이론강의와 실습을 겸하여 이루어진다.
매체활용수업(Learning with Media)
수업에서 활용 가능한 다양한 유형의 매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현장에서 매체를 효과적으로 설계, 개발, 활용,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한다. 이 과목은 u learning, blended learning, e learning등과 같은 최신의 경향도 다룰 것이다. 이 과목은 매체이론, 의사소통이론, 매체설계이론, 메시지설계이론, 수업설계이론, 시각디자인 이론 등에 기초하고 있다.
수업분석론(Instructional Analysis)
수업활동에 대한 관찰과 분석을 통해 효과적인 수업개선 능력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수업개선을 위한 수업장학, 다양한 수업관찰과 분석전략, 프로그램 평가, 질적 및 양적 분석전략 등에 대한 내용을 다룰 것이다.
수업설계론(Instructional Design)
수업설계와 개발에 대한 개념과 원리를 학습하며 요구분석에서 시작하여 평가까지 실제 수업체제설계를 할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주요 내용은 요구 및 학습과제 분석, 수업전략 및 매체 설계, 수업자료 개발, 효과적인 실행, 형성 및 총괄 평가 등의 단계별 설계과정을 포함하고 있다. 이 과목은 교육심리학, 체제이론, 그리고 학습이론에 이론적 기저를 두고 있다.
수업컨설팅연구(Instructional consulting study)
수업개선과 혁신을 위한 전문 컨설턴트의 양성을 위해서 필요한 기초이론과 실무적 지식, 그리고 기술습득을 목표로 하고 있다. 수업컨설팅 전문가가 되기 위해서는 수업에 영향을 미치는 상위체제, 하위체제, 투입요인 그리고 산출요인들에 대한 고려를 통해 수업에 대한 거시적 관점을 가지고 수업문제를 진단하고 분석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보다 효과적, 효율적, 매력적인 수업을 위한 개선 전략들을 숙달하고 있어야 한다. 수업컨설턴트의 또 다른 중요한 핵심적 능력은 컨설팅 고객의 수요 진단에서 시작하여 수업 문제점을 진단과 처방 등의 수업컨설팅에 대한 과정적 지식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이 과목에서는 수업이론, 학습이론, 체제이론, 수업분석이론, 프로그램평가, 수업체제설계이론, 수행공학 등에 관한 내용을 다룰 것이다.
교육과정및교육방법인턴십(Internship in Curriculum and Instruction)
국내외 국제교육협력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기관이나 단체의 한 가지 사업에 인턴학생으로 참여하여 실제 업무능력을 배양한다.
논문연구(Reading and Research)
실제적인 연구의 수행 및 학위논문과 연구논문의 작성 능력을 기르기 위하여 연구에 필요한 지식, 기능, 태도 등을 습득시킨다.
교육심리 및 상담심리 전공(Educational Psychology and Counseling Psychology)
성격평가와중재(Personality Assessment and Intervention)
심리검사의 기초과정인 ‘심리검사’를 수강한 학생이 상담 및 심리평가를 위하여 주로 부적응적 성격변인들의 측정과 평가에 주안점을 두고 기존검사의 이해와 실습을 강조하며 나아가 이러한 성격진단 결과에 따라 임상적 처치 및 상담을 할 수 있는 전략을 구축하여 부적응적 성격의 치료를 위한 중재방법과 실습을 한다.
심리검사(Psychological Testing)
교육 및 상담을 위한 심리검사의 기초적 이론과 상담자 수준의 간편한 심리검사의 활용에 관한 주제를 다룬다. 주로 이론을 다루고 검사의 성격과 종류, 검사의 양호도, 사회윤리적 사용에 관한 지능, 진로, 성격, 가치, 태도, 행동 측정에 관한 검사들을 다룬다.
인지행동치료(Cognitive Behavioral Therapy)
상담의 인지적 접근으로 인지행동적 심리치료의 원리와 구체적 기법을 다룬다. 우선 행동수정, 인지치료의 원리, 인지평가, 인지치료적 상담의 과정과 기법 등이 구체적으로 다루어진다.
진로개발의국제화(Globalization of Career Development)
생애진로발달과 선택을 위한 진로상담의 이론적 기초를 중심으로 강의가 이루어진다. 주로 생애진로발달과 성숙, 진로발달이론, 직업세계와 정보수집방법, 생애발달에 따른 진로교육, 진로평가 및 진로상담이론과 기법을 다룬다.
컨설팅이론과실제(Consulting Theory and Practice)
학생이나 상담내담자의 학습 및 정신건강을 촉진시키기 위한 컨설팅의 개념과 성격, 컨설팅이론, 컨설팅에서 사용되는 의사소통기술, 협동적 문제해결, 개인체제평가, 체제변화이론 등을 다루며 실습과정이 포함된다.
진로평가와중재(Career Assessment and Intervention)
심리검사의 기초과정인 ‘심리검사’와 ‘진로발달과상담’을 선수과목으로 이수하여야 하며, 주로 진로상담의 사례를 중심으로 진로평가의 기법을 학습한다. 주로 진로발달과 진로선택을 위한 검사, 진로가치관검사, 진로의사결정검사, 진로정체감 및 진로장애검사 등 다양한 진로평가 도구들이 활용될 것이며, 이러한 검사의 결과를 활용하여 진로상담의 구체적 방법을 찾고 실행하는 실습위주의 과목이다.
학교심리프로그램개발(Program Development in School Psychology)
학교장면에서의 여러 가지 부적응적 심리학적 주제들을 치료 교육하기 위한 심리교육 프로그램에 관하여 탐색하고 개발하는 과정이다. 학교심리의 부적응적 주제인 사회적 기술부족, 학업부진문제, 학습기술, 불안, 공격성, 우울, ADHD, 비행 등 아동 및 청소년의 행동 및 정서장애의 요인들을 치료하기 위한 심리교육 프로그램을 다룬다.
비판적사고와교육(Critical Thinking and Education)
이 과정은 비판적 사고에 대한 기초지식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추론의 본질에 대해 탐구하고, 추론의 종류, 비판적 사고기능 및 성향에 대해 학습한다. 또한 비판적 사고가 되는 방법 및 비판적 사고를 가르치는 방법에 대해서도 학습한다.
영재교육방법연구(Studies in the methods for teaching gifted students)
영재학생들의 특성에 알맞은 교수학습 방법과 교재를 개발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영재교육을 위해 개발된 각종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도 포함한다. 영재들을 위한 개별화 학습, 표준교육과정을 변형하는 방법, 교육재료를 설계하는 방법, 학급을 조직하는 방법을 학습하는 것이 목적이다.
영재아특성의이해(Understanding Characteristics of Gifted Students)
영재들의 일반적 특성, 영재아동들의 독특한 학습행동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것이 목적이다. 이 과정은 영재아동을 선별하고 영재들의 잠재력을 개발하기 위한 교육방법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것이 목적이다.
인지발달연구(Research on Cognitive Development)
이 과정은 인지발달에 관한 전반적인 지식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학생들은 아동의 인지발달 이론, 인지발달과정, 인지발달에 영향을 주는 주요요소, 다양한 인지발달영역에 대해 학습하고, 이런 지식을 교육현장에 적용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창의성발달과교육(Development of Creativity and Education)
창의성 개념, 이론, 발달, 교수방법 등을 학습하여 창의성 교육프로그램과 교육방법 등을 개발하고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한다.
학습컨설팅연구(Studies in Learning Theories)
교수- 학습에 관한 기본적인 개념을 이해하고, 다양한 학습자특성, 학습내용, 학습환경의 특성을 만족시키는 교수-학습이론을 살펴보고, 이론들의 차이점과 특성을 연구하여 실제 교육환경에 적용해 보는데 주안점을 둔다.
학습동기이론(Theories of Learning Motivation)
학습동기 기본개념, 제이론, 정서와 행동과의 관계, 육성방안, 유발방법 등을 학습하여 이 분야의 학문적 탐구능력과 교육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육성한다.
가족상담의이론과실제(Theories and Practices of Family Counseling)
가족상담의 제반 이론을 연구하고 인간이해, 문제의 관점, 문제해결기법들을 관계의 맥락 안에서 이해하고 체험함으로써 개인과 가족 및 개인과 그 개인이 맺고 있는 관계를 통한 상담능력을 함양시킨다.
교육심리및상담심리인턴십(Internship in Educational and Counseling Psychology)
국내외 국제교육협력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기관이나 단체의 한 가지 사업에 인턴학생으로 참여하여 실제 업무능력을 배양한다.
상담심리이론(Theories of Counseling Psychology)
상담심리 전문가로서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중요 상담이론을 연구하고, 각 이론이 제시하는 상담의 방향과 문제의 정의와 상담과정이 어떻게 현장에서 적용될 수 있는지 탐색하여 이론을 이해하도록 한다.
집단상담(Group Counseling)
본 과정은 학교 교육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자기성장, 학습, 성격, 대인관계, 성문제, 가족관계문제 등 특정 주제에 따라 집단상담의 이론적 탐색과 프로그램의 구성과 실제 현장에서의 실시와 실시 후의 분석을 통해 교육현장에 필요한 집단상담지도자를 육성 훈련한다.
현대심리치료의연구(Studies in current Psychotherapy Counseling)
상담과 심리치료의 전문가로서 직면하는 특수과제 및 접근방법을 다룸으로써 상담가로서의 전문성을 증진시킨다.
상담실습(Ⅰ)(Counseling Practicum (Ⅰ))
책을 통해 익힌 상담이론과 기법을 교실과 현장에서 실습하는 기회를 가진다. 상담 및 발달이론과 기법을 실제 내담자와의 상담장면에 효과적으로 통합하는 기술을 함양한다.
상담연구방법(Research Methods in Counseling)
본 과정의 목적은 학문으로서의 상담학을 이해하고 연구를 수행하는 능력을 기르는 데 있다. 상담연구의 이해와 적용, 설계 및 방법에 중점을 둔다.
청소년상담(Counseling the Adolescent)
청소년들의 정신적, 육체적 발달과정 및 부적응 기제를 이해하고, 이들의 부적응 증상들을 예방하고 상담하는 방법을 연구한다.
학교상담개발(Developing School Counseling)
학교상담전문가로서 갖추어야 할 지식과 기능을 배양한다. 상담, 교육, 관리,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등 학교상담의 주요 측면에 관하여 포괄적으로 연구한다.
학교상담사례연구(Seminar in School Counseling Cases)
학교현장에서 실제로 상담한 사례를 이용하여 세미나 형식으로 진행된다. 학생들은 상담사례를 발표하고 평가하며 조언을 듣고 나누는 가운데 학교상담가로서의 전문성을 신장한다.
학교집단심리교육(Studies in Group Psychoeducation Program)
집단의 역동성을 이해하고 집단심리교육 지도자로서의 능력을 기른다. 집단심리교육에 관하여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심리교육집단을 개발하고 적용, 평가하는 능력을 기른다.
논문연구(Reading and Research)
실제적인 연구의 수행 및 학위논문과 연구논문의 작성능력을 기르기 위하여 연구에 필요한 지식, 기능, 태도 등을 습득시킨다.
마이크로카운슬링(Micro- Counseling)
본 과정은 효율적인 상담훈련을 위해 상담의 접수, 면접에서부터 종결까지 단위별로 세분화하여 상담자의 역할과 내담자의 반응, 그리고 상담자- 내담자 상호작용을 분석, 연구한다.
상담슈퍼비젼(Counseling Supervision)
본 과정은 현장의 상담과정을 지도하며, 상담자의 상담방향성, 상담기술 및 상담영역과 대상에 따라 적용할 수 있는 상담기법을 개발한다.
교육심리 및 상담심리 전공(Educational Psychology And Counseling Psychology)
교육발전론(Educational Development)
교육발전의 이론, 이념, 실제를 검토하고, 교육과 정치, 경제, 사회발전과의 관계를 분석한다.
교육제도연구(Studies in Educational System)
학교제도에 초점을 두어 교육제도를 이해한다. 주요 내용은 교육제도의 핵심개념과 이념, 학교제도의 역사적 발달, 교육제도의 구조와 운영 및 발전과제이다.
교육행정이론연구(Studies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eories)
교육행정의 이론을 연구한다. 주된 내용은 교육조직의 구조, 사람, 문화 그리고 경영과정에 관한이론과 지식이다. 교육행정이론의 현장적용이 강조된다.
장학연구(Studies in Supervision)
장학의 이론과 방법 그리고 학교개선을 위한 적용을 연구한다. 장학에 사용되는 기술과 개념이 강조되고, 장학의 전문성 향상에 특히 주목한다.
학교발전연구(Studies in School Development)
학교발전의 이론, 전략, 방법을 연구한다. 변화경영, 발전경영 그리고 변화와 발전의 연계를 통해 학교를 발전시키는 방법에 초점을 둔다. 학교컨설턴트의 역할에 특별히 관심을 갖는다.
학급경영연구(Studies in Classroom Management)
학급경영의 이론적 지식과 실제적 방법을 연구한다. 학급을 효과적으로 경영하는 필요한 기술과 개념이 강조된다.
교육개혁론(Educational Innovation)
교육개혁의 여러 가지 관점, 교육개혁에 관한 공동체적 관점(배경, 내용, 과제, 동향), 학교공동체 형성에 관한 주요국의 실천사례, 한국에서의 학교공동체 실천모델 등을 탐구한다.
교육계획론(Educational Planning)
교육계획의 개념과 특성, 접근방법, 수립과정, 계획기법, 수준별 교육계획(중앙, 지방, 단위학교), 한국 교육계획의 역사와 발전과제 등 교육계획의 이론과 실제적인 주요사항들을 체계적으로 탐구한다.
교육인사행정연구(Studies in Educational Personnel Administration)
교육인사행정의 개념과 이론, 교원 인사행정의 특성과 목적, 채용, 능력개발, 근무평가, 승진 및 전직, 교원단체 및 교원노조, 보수, 복지후생 등의 사항을 체계적으로 탐구한다.
교육재정연구(Studies in Educational Finance)
교육재정의 이념, 교육재원의 확보, 배분, 지출 및 평가, 중앙 및 지방교육재정, 단위학교 교육재정, 예산제도, 교원보수 등 교육재정의 주요 사항을 탐구한다.
교육정책연구(Studies in Educational Policy)
교육정책의 개념, 접근방법, 과정(형성, 집행, 평가), 참여자, 교육정책사례 분석 등을 통해 교육정책의 이론과 실제를 탐구한다.
교육지도성연구(Studies in Educational Leadership)
교육과 교육조직에 대한 이해에 기초하여 지도성에 대한 개념과 지도성 이론을 개관한다. 지도성의 개념, 임무, 구성원, 특성이론, 행동이론, 상황이론, 변혁적지도성, 통합적지도성, 지도자공동체, 성과지도성, 학교장교육지도성 등을 논의한다.
학교경영컨설팅(School Management Consulting)
학교경영컨설팅의 개념, 주요 내용, 방법, 절차, 사례 분석 등을 통해서 학교경영컨설팅에 대한 이론과 설천적인 전략을 탐구한다.
문화와교육(Culture and Education)
교육과 문화의 관계를 중심으로 교육인류학 및 문화론적 관점에서 교육현상을 접근한다.
비교교육론(Comparative Education)
둘 이상의 국가간의 교육을 다양한 관점에서 비교함으로써 자국의 교육제도나 현상을 이해하고 발전방향을 모색한다.
사회계층과교육(Social Stratification and Education)
사회계층과 교육과의 관계를 다루며 특히 가정배경이 자녀의 교육에 미치는 영향을 집중적으로 다룬다.
성과교육(Gender and Education)
교육현장에서 일어나고 있는 다양한 성불평등 문제를 인식한다. 교육에서 문제시되고 있는 성차별의 역사적, 문화적, 사회적, 심리적 근원을 살펴보고 젠더에 관한 올바른 이해와 태도를 함양하며 교육을 통한 바람직한 양성평등의 구현 방향을 모색한다.
교육사회및교육행정인턴십(Internship in Sociology of Education and Educational Administration)
국내외 국제교육협력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기관이나 단체의 한 가지 사업에 인턴학생으로 참여하여 실제 업무능력을 배양한다.
학교교육사회학(Sociology of Schooling)
학교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미시사회학적 관점에서 이해하고 설명한다.
학교효과론(School Effects Study)
“학교는 학생들의 학업성취의 차이를 만들어내는가?”라는 핵심적인 문제인 학교효과에 관한 연구들의 장단점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앞으로의 연구의 발전방향을 탐색한다.
교육생애사연구(Educational Biography)
최근 다양한 인문사회과학의 질적 연구방법으로 각광을 받고 있는 생애사연구를 평생교육의 영역에 적용하여 그 이론적인 가능성과 실질적인 질적 연구방법을 체득한다.
노인교육연구(Education for the Olderly)
고령화시대를 맞이하여 노인학습자들의 자기 성찰성을 강화할 수 있는 이론적 토대를 학습하며, 노인교육현장의 개선과 실버시대에 적합한 노인교육모델에 대한 논의를 통하여 노인교육전문가로서의 자질을 배양한다.
문화예술및박물관교육연구(Cultural Education and Museum Education)
박물관 교육을 포함한 문화교육과 예술교육에 대한 이론적 담론에 대한 학습과 실제 사례 분석을 통해 문화예술교육의 실천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역량을 가진다.
인적자원개발컨설팅(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Organizational Consulting)
기업체와 근로자/리더의 직업능력개발에 대한 이론과 실제, 그리고 국가와 지역에서의 인적자원개발에 대한 정책과 전략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인적자원개발에 대한 전문가적 자질을 습득한다.
평생교육프로그램개발의이론과실제(Theory and Practice of Life- Long Educational Program Planning)
평생교육프로그램개발에 대한 다양한 이론적인 지식을 습득하고 실습을 통하여 실질적인 교육프로그램개발능력을 함양한다.
평생학습방법연구(Life- Long Learning Methods)
평생교육을 거시적 차원에서 조직하는 이론모형과 방법을 습득하고 미시적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교수, 토론방법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평생 교육을 방법적인 측면에서 경영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논문연구(Reading and Research)
실제적인 연구의 수행 및 학위논문과 연구논문의 작성 능력을 기르기 위하여 연구에 필요한 지식, 기능, 태도 등을 습득시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