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부교과목개요
- 물리화학(I) (Physical Chemistry(I))
화학변화에 수반되는 에너지 변화, 변화의 자발성 및 화학평형에 관한 실험적 현상을 정량적으로 이해시키기 위하여, 기체의 성질과 구조, 열역학 제 0, 1, 2 법칙, 열역학 반응의 자발성, 화학평형, 상평형 및 혼합물의 열역학을 다룬다. - 물리화학(II) (Physical Chemistry(II))
물리화학(I)의 연속강의로서 화학반응의 메카니즘을 이해시키기 위하여, 기체분자의 운동론, 용액에서의 분자운동의 실험적 반응속도 법칙, 복잡한 반응의 속도론 및 반 응동력학을 다룬다. - 물리화학실험 (Physcial Chemistry Laboratory)
실험데이터 처리법, 온도의 측정 및 조절, 끓는점오름, 어는점내림에 의한 활동도 및 분자량 측정, 용액의 부분 몰랄 성질, 이성분계 및 삼성분계의 평형, 가수분해 반응, 액체의 점성도 및 삼투압 측정, 표면장력, 열량계에 의한 반응열 측정, 기체의 흡착, 기체와 액체의 밀도 등이다. - 분자분광학 (Molecular Spectroscopy)
화학의 기본적인 화합물의 구조 및 성질을 파악하므로서 주어진 분자의 특성을 확인하고 분자의 분광학적인 성질을 이해하도록 한다. - 반응속도론 (Chemical Kinetics)
화학반응은 다양한 분자들의 충돌을 통해 일어나며 이러한 분자들의 동력학을 이해 함으로써 화학반응을 예측 하고 제어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토록 한다. 다양한 화학 반응의 속도를 분자운동론, 반응에너지, 전이상태이론 등을 통하여 고찰하고, 실제 반 응속도의 측정원리와 반응 매커니즘 규명에 관한 이론을 강의한다 - 나노화학입문 (Introduction to Nanochemistry)
1~100nm 크기 영역에서 나노 물질의 제조와 나노 물질의 특성 분석, 제반 기초 과학적 현상, 물질의 크기와 차원변화에 따른 상태밀도 함수, 구조적, 전자기적, 광학적, 전기적 성질 등의 변화에 관한 이해를 추구한다. - 물리화학특강 (Topics in Physcial Chemistry)
물리화학(I)과 (II)에서 취급하지 않는 분야의 토픽이나 주제를 이해시키기 위하여, 전 기화학, 계면화학, 고분자 물리화학 및 분자의 성질을 다룬다. - 유기화학(I) (Organic Chemistry(I))
공유결합의 특징, 탄소화합물의 구조, 산-염기 이론 및 유기입체화학 등 유기화학의 기본지식을 알칸, 알켄, 디엔, 벤젠 및 벤젠 유도체와 기본적 유기반응에 관한 지식을 습득하도록 한다. - 유기화학(II) (Organic Chemistry(II))
알코올, 페놀 에테르, 케톤 및 알데히드 등 카르보닐 화합물, 디카르보닐화합물, 카르 복시산과 카르복시산 유도체, 아민들에 대하여 학습한 후 실제의 유기화학 제반 문제 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한다. - 유기화학 실험 (Organic Chemistry Laboratory)
기본조작인 분별증류, 재결정, 추출, 크로마토그래피 이용, 적외선 및 핵자기공명 스 팩트럼 측정 방법 등의 조작법을 익히며 산화 환원 등의 기능기 변환과 Diels-Alder 반응, Friedel-Crafts 반응, 친전자성 방향쪽 치환의 각종 반응을 실습한다. - 유기분석 (Organic Structural Analysis)
가시 및 자외선 분광, 적외선 분광, 핵자기 공명, 질량분석 스펙트럼으로부터 유기화 합물의 구조를 결정하는 실제적인 스펙트럼 해석 능력을 가지게 한다. - 물리유기화학 (Physcial Organic Chemistry)
유기화합물의 구조와 유기화합물의 반응성 관계, 반응 메카니즘의 규명, 분자궤도 함 수론, 산-염기 이론등 화학반응의 이론과 반응 메카니즘을 학습한다. - 유기합성 (Organic Synthesis)
역합성에 관련된 개념, 용어등 유기합성의 기본개념을 포함하여 탄소-탄소 결합형성 반응, 고리형성 반응, 우기 금속 화합물을 이용한 합성 반응, 비대칭 유발 반응을 강 의하며 여기서 습득된 지식을 전합성에 응용할 있도록 한다. - 유기금속화학 (Organometallic Chemistry)
금속의 알칼리화합물 카르벤화합물, 카르빈화합물, 알켄 및 알킨착화합물, 여러 가지 메탈로센화합물의 합성법과 구조, 결합특성 및 화학불성을 다룰 것이다. 아울러 유기금속화합물의 여러 가지 촉매반응 과정의 반응기구과 생체계에 존재하는 각종 유기금속화합물의 생화학적 기능과 그 역할을 소개할 것이다. - 유기화학특강 (Topics in Organic Chemistry)
유기화학(I)과 유기화학(II)를 수강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며 헤테로 고리화학, 고리협동반응(pericyclic reaction), 유기라디칼 반응, 유기금속화학 등을 강의한다. - 공업화학(Industrial Chemistry)
실제 화학공정에서 생산하고 있는 유기무기공업 화학제품들, 즉 석탄 및 에너지, 석유화학, 계면활성제, 도료 및 안료, 천연 및 합성 고무, 합성섬유, 합성세제, 플라스틱제품, 산, 염기, 비료, 시멘트 제조 등을 개괄적으로 강의한다. - 무기화학(I) (Inorganic Chemistry(I))
배위화학, 유기금속화학, 생물무기화학 및 촉매화학 등의 고급무기화학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무기과학의 기초원리를 중점적으로 다룬다. 이를 통하여 무기화합물의 결합과 구조, 안정성, 반응성, 자기적 및 분광화학적 특성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케 한다. - 무기화학(II) (Inorganic Chemistry(II))
배위화학을 주로 다룬다. 즉 원자가결합론(VBT), 배위자장이론(LFT), 그리고 분자궤도 함수이론(MOT)을 소개하고 아울러 배위수를 달리하는 여러 가지 착화합물의 구조와 그들의 전자적 입체적 특성을 논의한다. - 무기화학실험 (Inorganic Chemistry Laboratory)
간단한 무기염, 착화합물, 촉매제등을 합성한 다음 그들의 화학조성과 성분을 분석하고 그들의 구조와 결합에 관한 UV, VIS, IR등의 분광학적 실험과 그들의 열적 안전성, 상전이 반응, 산화-환원반응 및 열분해 반응, 착이온에 관한 전기화학적 실험, 착화합물의 안정도 상수, 및 배위자 교환반응에 대한 속도론적 실험등을 다룰 것이다. - 무기화학특강 (Topics in Inorganic Chemistry)
무기 고분자 화합물의 일종으로 볼 수 있는 여러 가지 무기사슬화합물을 위시하여 각종 고리화합물, 케이지화합물, 뭉치화합물들의 구조와 결합 및 물리화학적 특성을 논의함과 동시에 란타니드 족과 악티니드 족 원소의 분리, 화학적 특성 및 이들에 관한 착물화학 등을 다룰 것이다. - 분석화학 (Analytical Chemistry)
분석시료 속에 들어 있는 구성 성분을 분리하여 확인하고, 상대적인 양을 측정하기 위한 정량법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강의한다. 특히 측정결과의 수학적 처리 방법, 무게 및 부피분석, 산-염기, 침전, 착물 및 산화-환원 평형 등의 원리 및 화학량론적 개념을 이해하게 한다. - 분석화학 실험 (Analytical Chemistry Laboratory)
시료의 정량 분석법에 대해 실습을 통하여 익히게 한다. 즉, 분석시료 만들기 성질측정, 결과의 통계적 처리 등의 훈련을 통해서 기본적인 분석처리기술을 익히도록 한다. - 기기분석(I) (Instrumental Analysis(I))
분석시료의 정성 및 정량을 위하여 사용되는 분석기기의 원리 및 응용 등에 대하여 강의하며 아울러 이를 사용한 물질의 정성 및 정량분석법에 대하여 강의한다. 특히 전기 화학적 분석법과 분리 분석법에 대하여 주로 강의한다. - 기기분석(II) (Instrumental Analysis(II))
여러 가지 분석시료의 정성 및 정량을 위하여 사용하는 기기를 이용한 분석법 중 분광분석법, 질량분석법, 그리고 열 분석법 등에 대하여 강의한다. 즉, 전자기복사선과 분석물의 분자사이의 상호작용을 측정하거나 분석법에 의하여 생긴 복사선을 측정하는 분자 분광 분석법에 대하여 강의한다. - 기기분석실험 (Instrumental Analysis Laboratory)
기기를 이용한 정량분석법에 대해 실습을 통하여 익히게 한다. 즉 기본 전자회로 제작 등 기기분석(I)과 (II)애서 강의한 내용을 실험한다. - 분석화학특강 (Topics in Analytical Chemistry)
분석화학과 기기분석(I),(II)에서 취급하지 않는 분야의 토픽이나 주제를 이해시킨다. - 생화학(I) (Biochemistry(I))
생물체의 구성성분과 그들의 구조 및 작용기작을 이해함을 목적으로 한다. 생체구성 성분의 생화학적 특성, 생리기능적 특성과 대사과정에 수반되는 에너지와 그 이용, 생체 거대분자의 생합성 및 생분해 등을 다룬다. - 생화학(II) (Biochemistry(II))
유전물질인 DNA, RNA의 구조적 특성, 생합성, 유전정보를 전달하는 기구와 그 조절 체계를 소개하고, 생체의 면역계와 호르몬의 역할등에 대하여 강의한다. - 생화학실험 (Biochemistry Laboratory)
생물물리화학적 실험방법을 통해 생체물질들의 특성을 습득케 한다. 그리고 생물물리화학에서 배운 기본원리와 이론지식을 실험과 실습을 통하여 확인시키고 응용력을 길러 실용성 있는 산지식을 얻도록 한다. - 생화학특강 (Topics in Biochemistry)
단백질의 구조와 기능, 핵산의 구조와 기능적 제어, 단백질의 생합성 시스템 및 생체막의 구조와 기능 등에 대한 기본적 지식 및 최근의 연구동향과 연구방법 등에 관하여 강의한다. - 생물물리화학 (Biophysical Chemistry)
생체물질들의 구조와 기능 발현 등과 같은 생화학적 문제들의 해명을 위하여 물리화학적인 개념과 측정방법등을 적용하고자 한다. 특히 최근 생체물딜의 특성을 규명하는데 그 중요성을 인정받고 있는 NMR(핵자기공명장치), CD(원편광이색성)등의 분자분광학적 적용 방법 및 원리에 대한 기본적 지식을 습득하도록 한다. - 화학연구(Undergraduate Research)
화학의 각 분야 중에서 특정 과제를 선택하여 문헌조사, 연구실험 및 논문 작성 등을 수행한다. 화학의 각 분야에서 특정과제를 선택하여 지도교수의 지도하에 심도 있는 실험연구를 수행한다. 졸업 후 대학원이나 연구소 등에서 연구 활동을 수행할 능력을 기른다